"신차 67%, 전기차로 채워라"…배터리업계 '표정관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정부가 2032년까지 자국 내 판매되는 신차의 67%를 전기차로 채우도록 하는 규제안을 발표하자 관련 업계의 반응은 엇갈렸다.
자동차업계는 생산 역량과 현지 시장 수요 등 여러 변수가 있어 이같은 기준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는 반면, 전기차 판매 증가가 이익으로 직접 연결되는 배터리업계는 반기는 분위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영호 기자]
미국 정부가 2032년까지 자국 내 판매되는 신차의 67%를 전기차로 채우도록 하는 규제안을 발표하자 관련 업계의 반응은 엇갈렸다.
자동차업계는 생산 역량과 현지 시장 수요 등 여러 변수가 있어 이같은 기준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는 반면, 전기차 판매 증가가 이익으로 직접 연결되는 배터리업계는 반기는 분위기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12일(현지시간) 공개한 차량 배출기준 강화안은 차량의 이산화탄소와 각종 오염물질 배출 허용량을 6년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이 뼈대다.
이 기준을 맞추려면 내연기관차 기술 개선으로는 한계가 있어 전기차 판매 비중을 늘릴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2032년에는 전기차가 전체의 67%를 차지한다는 게 EPA의 전망이다.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승용차 신차의 전기차 비중은 5.8%에 불과하다. 이를 10년 안에 10배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게 미국 정부 목표다.
강화된 배출기준은 미국 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자동차업계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테슬라처럼 전기차만 취급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다수 완성차업체는 여전히 내연기관차 비중이 크다.
국내 업체 중에서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작년 미국 내 전기차 판매 비중이 3.9%였다. 2030년까지 현대차는 이를 58%, 기아는 47%로 높인다는 목표이지만 새 기준을 맞추려면 한층 더 바빠지게 됐다.
장기적으로는 전기차 공장 증설 등으로 전동화 전환을 지속 추진하지만, 내연기관차에 대한 시장 수요가 여전히 존재하는 터라 당장 생산·판매 믹스에서 내연기관 모델을 급격히 줄이기도 쉽지 않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과 맞물려 미국 현지 공장 건설에 속도를 내는 국내 배터리 업계는 시장 확대 측면에서 이번 규제안을 긍정적으로 본다.
전기차 판매가 늘면 그만큼 배터리 수요가 증가하고 공장 가동률도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높은 수준의 목표치에 따른 단기 대응 이슈는 있을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결국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는 것이어서 전기차에 투입될 배터리를 생산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나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 현지에 투자하거나 북미를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배터리 업체를 중심으로 유리한 상황이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가 IRA를 통해 전기차 보조금과 친환경 에너지 지원을 강화한 데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도 더욱 힘을 실으면서 배터리 업계에는 청신호가 켜졌다.
실제로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에는 IRA에 따른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예상 금액이 1천억 원 가량 반영되기도 했다.
(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