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등 ‘3중고’ 앓는 건설업계…“정부 지원 간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멘트 수급난은 최근 원자재 가격 폭등과 고금리로 얼어붙은 부동산 경기를 더욱 얼어붙게 하고 있다.
시멘트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공사가 중단, 지연되는 현장이 전국에 기하급수로 늘고 있다.
전날(11일) 경기 의왕시 오봉역 시멘트 유통기지를 방문한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시멘트 산업은 레미콘 및 건설 산업 등 전방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큰 기초소재 산업"이라며 "정부도 수급상황에 대해 업계와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멘트 수급난은 최근 원자재 가격 폭등과 고금리로 얼어붙은 부동산 경기를 더욱 얼어붙게 하고 있다. 시멘트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공사가 중단, 지연되는 현장이 전국에 기하급수로 늘고 있다. 업계는 ‘3중고’(원자재·고금리·시멘트)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나서주길 호소하고 있다.
12일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시멘트 수급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고 여전히 심각하다”라며 “현장도 ‘더 심각해지면 심각해졌지 완화한 건 아니’라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시멘트 수급난은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전국 시멘트 공장 소성로 30% 가량이 친환경 설비 구축 작업에 들어가면서 촉발됐다.
여파는 상당하다. 협회에 따르면 상위 100위권 이내 중·대형사 건설현장 154곳 중 98곳이 지연·중단 등 차질을 빚었다. 공공건설현장 경우 42곳 중 38곳이 멈춘 걸로 집계됐다.
건설업계 발등에도 불이 떨어졌다. 시멘트 수급 정체로 시공기간이 연장되면 수입이 지연되고 프로젝트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어서다. 대출규제 강화와 고금리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문턱도 높은 상황이다. 이 경우 원청과 하청으로 연쇄도산이 일어날 수 있고 피해는 영세업체에 집중될 걸로 예상된다.
협회 관계자는 “중소건설사가 PF를 하려면 공공사업이 많아야 하는데 예산이 충분하지 않다”라며 “민간공사도 건설경기 영향에 따라서 착공신고나 건축허가신고가 안 되는 바람에 중소업체 참여율이 낮아지는 어려움이 있고 부도를 한다거나 회생절차에 들어간 업체도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건설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이 어려워서 이런 점들이 장기화하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까 염려 된다”고 덧붙였다. 이어 “상반기에 정부 재정을 풀어주되 시기와 규모를 고민해야 할 것”이라며 “미분양도 정부나 지자체에서 매입해 해소하는 등의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시멘트 수급 안정화를 위한 당부와 함께 지원을 다하기로 다짐했다. 전날(11일) 경기 의왕시 오봉역 시멘트 유통기지를 방문한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시멘트 산업은 레미콘 및 건설 산업 등 전방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큰 기초소재 산업”이라며 “정부도 수급상황에 대해 업계와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당국도 최근 ‘회사채·단기금융시장 및 부동산 PF 리스크 점검회의’에서 건설사와 PF를 대상으로 한 정책금융 공급액을 지난해 말 대비 5조1000억 원 증액한 28조4000억 원으로 확정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부,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하기로 결정
- 추경호, 연평도 포격 14주기에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다”
- 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다음 주 소폭 하락 예상”
- “코로나 때 ‘대면예배 금지’는 적법”…서울시, 교회들에 승소
- 윤 대통령, 박장범 KBS 사장 임명안 재가
- 북한군 ‘최전선’ 투입 넓어지나…“마리우폴·하르키우에도 도착”
- 이스라엘,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공습…11명 사망‧63명 부상
- 트럼프, 국가안보부보좌관에 ‘알렉스 웡’…“북미정상회담 기여”
- “대표가 성추행” 걸그룹 멤버 폭로…소속사 “성적 접촉 없었다”
- 안정 속 일부 변화 택한 LG…삼성·SK 임원인사도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