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해·공군 동원, 中 '대만 포위작전'…美 "과잉대응 말라" 경고

신경진 2023. 4. 9. 17: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소속 육군 장사정포 부대가 8일 ‘날카로운 칼날’ 훈련에 참가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8일과 9일 대만 주변에서 실전을 상정해 외부 군사력 접근을 차단하는 고강도 훈련을 벌였다. 지난 5일(현지시간)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과 케빈 매카시 미 하원 의장의 미국 회동에 대한 군사적 보복 조치다. 중국의 ‘대만 포위’ 군사훈련에 미국은 ‘과잉 대응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내고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을 대만 방공식별구역(ADIZ)에 투입하는 등 맞대응에 나섰다. 대만 해협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 긴장감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대만 국방부는 9일 정오까지 수호이30·젠(殲)10·젠11·젠16·훙(轟)6·윈유(運油)20·윈(運)8·윈9 및 쿵징(空警) 500 등 각종 전투기 58대를 관측했다며 그 중 31대가 해협 중간선 및 방공식별구역(ADIZ)을 진입했다고 발표했다. 중국군 군함은 9척 관측됐다. 전날인 8일에는 중국 군용기 71대와 군함 9척이 관측됐으며 45대가 중간선을 침범했다.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소속 전투기가 8일 ‘날카로운 칼날’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날카로운 칼날(利劍·이검)’로 명명한 중국의 이번 훈련은 미군의 개입을 차단하는 능력을 점검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중국 인민해방군 뉴스포털인 중국군망에 따르면 스이 동부전구(사령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8~10일 대만해협과 대만섬 북쪽, 남쪽, 그리고 동쪽 바다와 영공에서 전투경비 순찰과 ‘날카로운 검 연합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훈련 이틀째인 9일 중국중앙방송(CC-TV) 인터넷 매체 앙시신문(央視新聞)은 “여러 군종의 부대가 전구연합작전지휘센터의 통일 지휘 아래 대만 및 주변 해역의 관건 목표를 대상으로 모의 연합 정밀 타격을 실시하고 섬 주변 진격 태세를 지속 유지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공군은 수십 대의 조기경보기·정찰기·전투기·폭격기·전자전기가 작전 편대에 따라 조직적으로 목표 공역으로 출격했다”며 “합동 돌격 병력을 위한 목표 인도와 지원 엄호를 제공했다”고 강조했다. 대만 상륙작전을 상정한 공중 지원 태세를 점검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해군은 모의 상륙작전을 점검했다. 앙시신문은 “구축함 여러 척과 해상의 미사일 고속정, 해안 상륙부대가 대만 남서쪽 목표물을 시시각각 추적했다”면서 “순찰 함정은 고속 기동 및 은닉 방식으로 예정된 타격 지점을 점령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소속 구축함이 8일 ‘날카로운 칼날’ 훈련에 참가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육군과 로켓군은 대만 목표물에 대한 정밀 타격을 훈련했다. 육군은 “다연장 로켓포 부대가 정찰·지휘·화력의 네트워크 링크와 드론의 지원으로 발사 목표의 타격 인도를 받아 다목표 정밀 타격, 다탄종 복합 파괴 훈련을 전개했다”고 보도했다. 로켓군은 “1차 대만섬 관건 목표 모의 타격을 완수한 뒤 밤새 예비 진지로 기동해 후속 타격을 준비했다”며 실전 능력을 과시했다.

지난 8일 치러진 첫날 훈련의 성격과 관련해 CC-TV 메인뉴스인 신원롄보(新聞聯播)는 “합동작전 시스템의 지원 아래 제해권·제공권·정보통제권 능력의 탈취를 중점 점검했다”며 “임무 부대는 동시에 섬 주변의 전쟁 경계 및 진격을 조직해 전 방향에서 섬을 포위하는 억제 태세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실전 상황에서 미군의 지원을 상정한 ‘접근 거부, 영역 거부(A2/AD)’ 능력을 집중 점검했다는 의미다.

해군은 이번 훈련에서 미 7함대의 잠수함 전력 격퇴에 주력했다. 즉 “대잠초계기가 수중의 이상을 먼저 발견한 뒤 장거리 소나(SONAR·Sound Navigation Ranging, 수중 음향 탐지)로 합동 점검하고 다종 플랫폼 장비의 전방 정찰과 비교한 뒤 목표 신호를 정확하게 포착해 각 함정이 섬멸하는 ‘상어사냥’을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대만 주변 해역의 잠수함 타격 훈련임을 강조한 것이다.

대만 언론에 따르면, 중국 동부전구 해군 소속 미사일 구축함 타이위안(太原)함이 전날 오후 3시쯤 대만해협의 중간선을 넘어 대만 남부 핑둥현 팡랴오향 해안에서 24해리(약 44㎞) 거리인 접속수역 근처까지 접근했다. 이에 대만군은 3천t급 캉딩급 호위함과 해순서(해경) 함정 등 2척을 긴급 파견했다. 한때 중국과 대만 함정 간 거리가 3해리(약 5.5㎞)까지 근접함에 따라 긴장감이 고조됐다고 한다. 9일에는 대만 해협 중앙선 인근에서 중국과 대만의 군함 20여척이 대치하는 일도 있었다. 로이터 통신은 “대만 해협에서 중국 군함 10척과 대만 군함 10척이 대치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은 중국을 겨냥해 “과잉 대응하지 말라”고 압박했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8일(현지시간) “우리는 역내 평화와 안전을 보장하고 국가 안보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기에 충분한 자원과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자신한다”며 “중국의 행동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중국의 무력시위 자제를 촉구한 발언이다.

사실상 주대만 미국 대사관 역할을 하는 미국 재대만협회(AIT)도 9일 “중국이 미국의 오랜 관행과 정책에 부합하는 (차이잉원 총통의) 이번 경유를 그렇지 않은 것으로 치환하거나 과잉 대응의 구실로 이용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며 “미국은 대만 주변에서 중국의 훈련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으며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충분한 자원과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군의 군사훈련에 미군은 해상초계기 P-8A 포세이돈을 대만 서남부 방공식별구역에 투입하기도 했다. 연합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포세이돈 초계기가 지난 8일 오전 대만 서남부 방공식별구역을 선회 비행한 뒤 정오 이후부터는 대만과 필리핀 사이 바시 해협에서 선회 비행했다. 한 군사 전문가는 지난해 8월 낸시 펠로시 당시 미 하원 의장의 대만 방문 당시 중국군의 ‘대만 봉쇄’ 군사훈련에 이어 이번 훈련에서도 P-8A 포세이돈이 처음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군 훈련에 대한 정보 수집 목적 외에도 중국에 ‘경거망동하지 말라’는 무언의 메시지도 담겼을 것이라고 했다.

중국의 고강도 실전 훈련에 대만은 ‘역내 안보 위협’을 들어 강하게 반발했다. 대만 국방부는 8일 “올해 들어 중공은 지속적으로 전투기와 함정을 침범시켜 지역 정세에 위협을 조성하고 심지어 차이 총통의 미국 경유를 구실로 군사훈련을 시행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 안보를 엄중히 파괴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대만군은 침착하고 이성적이며 엄숙한 태도로 ‘충돌을 고조시키지 않고 분쟁의 실마리를 촉발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경계와 감시 통제할 것”이라고 했다.

8일 차이잉원(오른쪽) 대만 총통이 마이클 매콜 미 하원 외교위원장을 만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6~8일 대만을 방문한 마이클 매콜 미 하원 외교위원장 등 8명의 의원 대표단은 차이잉원 총통과 회담하고 대만 반도체 및 방위산업체 관계자들과 만나 대만 지원을 다짐했다.

차이 총통과의 회담에서는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우크라이나군에 제공하고 있는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를 대만에도 도입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매콜 위원장은 “정보 감시 및 정찰에 뛰어난 중국은 태평양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만에는 그런 게 없다”며 스타링크 필요성을 역설했으며 의원 대표단은 스타링크 도입에 대해 “건설적인 선택지 중 하나”라고 차이 총통에게 설명했다고 한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한편 영국의 방산 전문 매체 제인스(JANES)는 지난 1년여간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전투기와 무인 드론 1872대가 대만 주변 방공식별구(ADIZ)에 진입했다고 전했다. 매체는 이 가운데 지난달 27일까지 316차례 대만 해협 중간선을 넘나드는 비정상 비행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