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기’ 없는 경쟁 강화로…은행권 개혁 큰 줄기 잡혔다
금융당국의 은행 개혁 논의가 새 ‘메기’ 찾기보다 기존 체제 경쟁을 더 강화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무리하게 새 사업자를 찾는 것이 득보다 실이 많다고 판단해서다. 특히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로 금융 불안 우려가 커진 점도 고려됐다.
6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모든 은행장 및 은행연합회장과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의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 태스크포스(TF)’ 운영성과를 공유했다. 지난 2월부터 시작한 TF는 현재 실무반을 구성해 은행권 경쟁 촉진, 보수체계 개선, 손실흡수능력 제고 관련한 논의를 마쳤다. 앞으로 금리체계 개선, 비(非)이자이익 확대, 사회 공헌 활성화 등과 관련해 추가 논의를 한 뒤, 6월 말 최종 개선 방안을 발표한다.
특히 이번 TF의 가장 큰 주제였던 은행권 경쟁 촉진 관련해선 새 사업자를 도입하기보다 기존 경쟁 구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큰 줄기가 잡혔다. 금융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경쟁 촉진 방법에는 신규 사업자를 진입시켜 구조를 바꾸거나, 기존 사업자의 경쟁을 더 강화하는 방법이 있는데, 전자보다는 후자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과점 체제를 깨라”고 지시한 만큼, TF 초기만 해도 스몰라이센스·소규모 특화은행 같이 은행업 추가 인가에 대한 관심이 컸다. 하지만 최근 새 사업자 허용 가능성이 작아진 것은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로 인해 금융 불안 우려가 커진 탓이다. 특히 최근 자금력이 달리는 중소은행 불안이 커지고 있어, 금융당국 입장에서도 손쉽게 은행업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없게 됐다.
신규 사업자 도입 효과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스몰라이센스와 소규모 특화은행은 기존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기관 등과 큰 차이가 없어, 대형은행에 대한 견제보다 중소은행 간 경쟁만 심화시킨다는 반론이 나왔다.
비은행 금융사인 카드사와 보험사 등에 지급결제 업무를 허용해, 은행처럼 계좌 개설권을 주는 방안도 소비자 효용 관점에서 효과가 미미하다는 게 TF 내부 의견이다. 지급결제 업무를 총괄하는 한국은행도 최근 TF에 “지급결제시스템 안전성이 크게 저하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새로운 ‘메기’를 찾는 대신 금융당국은 기존 체제 내 유효경쟁을 창출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이미 발표한 대환대출 인프라 확대, 온라인 예금중개서비스, 예대금리차 공시 개선 등을 은행권 경쟁 촉진의 핵심 과제로 추진한다. 이날 김 부위원장도 이런 정책들을 언급하며 “신규 진입 없이도 예·대 시장에서 실질적인 경쟁을 촉진해 국민 금융 편익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새 사업자 허용이 사실상 막히면서, 은행권 개혁 논의가 ‘용두사미’로 끝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다만 전문가들은 은행업 특성상 처음부터 새로운 ‘메기’ 찾기가 쉽지 않았던 만큼, 기존 체제 내 관리·감독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이미 형성된 기존 은행권의 독점력을 새 사업자가 깨기는 쉽지 않다”며 “다만 은행권 독·과점으로 인한 문제는 분명히 있기 때문에 금융당국이 이 부분에 대해 좀 더 감독과 견제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김남준 기자 kim.namju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결혼 축하해" 전남친 선물…홈시어터 틀자 '펑' 印신랑 숨졌다 | 중앙일보
- 머스크 보다 40조 더 많다…세계 최고 부자는 '프랑스' 이 남자 | 중앙일보
- 치매치료, 100년간 헛짚었나…미토콘드리아 ‘뇌 이식’ 뜬다 | 중앙일보
- '대리모 논란' 스페인 국민배우 "아기 아빠는 사실 죽은 내 아들" | 중앙일보
- 옷 벗겨 중계, 이게 중학생 짓…학폭 대책 "반쪽" 말나온 이유 | 중앙일보
- [단독] 강남살인 '배후 의혹' 부부…"죽이는 건 원래 내 전문" | 중앙일보
- 김의겸과 팩트 싸움도 졌다…요즘 화제되는 '편의점 간 한동훈' | 중앙일보
- "연포탕? 용산탕" 비아냥 속…중도·수도권·청년 뼈아픈 이탈 [김기현 체제 한 달] | 중앙일보
- 합격자 232명 중 199명 포기했다…잘 나가던 교대의 위기 왜 | 중앙일보
- 현금 수강료만 수십억원…대치동 입시학원의 탈세 수법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