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 앞에서, 레이건 앞에서 노래했다…디바 현미 별세

김선미 2023. 4. 4. 17: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밤안개' '떠날 때는 말 없이' 등 명곡을 내며 반세기 넘게 사랑 받은 가수 현미가 4일 오전 별세했다. 연합뉴스


'밤안개' '떠날 때는 말 없이'와 같은 명곡으로 한 시대를 풍미한 가수 현미(본명 김명선)가 4일 별세했다. 86세.

경찰과 가요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서울 용산구 자택에서 쓰러진 현미를 팬클럽 회장 김모(73)씨가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사망 판정을 받았다. 아직 정확한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특유의 재즈풍 목소리와 풍부한 성량, 옆으로 반듯하게 넘긴 머리는 '디바 현미'의 트레이드마크였다. 덕성여대에서 고전무용을 전공한 고인은 1957년 돈을 벌기 위해 칼춤 무용수로 미8군 공연 무대에 섰다. 우연히 공연 펑크를 낸 한 여가수의 대타로 마이크를 잡은 게 계기가 돼서 김정애·현주와 함께 여성 3인조 그룹 '현 시스터즈'를 결성했다.

현미(맨 오른쪽)와 미8군 무대에서 함께 활동했던 가수 한명숙(맨 왼쪽), 최희준. 중앙일보


고인은 훗날 남편이 된 작곡가이자 색소폰 연주자 고(故) 이봉조(1931∼87)씨의 눈에 들면서 본격적인 가수의 길을 걸었다. 62년 이씨와 작업한 1집 수록곡 '밤안개'가 전국적인 인기를 얻으며 스타가 됐고, 김기덕 감독이 연출한, 엄앵란·신성일 주연의 영화 '떠날 때는 말 없이'의 주제곡을 비롯해 '보고 싶은 얼굴' '몽땅 내 사랑' '무작정 좋았어요' 등을 잇달아 히트시키며 60년대를 풍미했다. 고인과 이봉조씨는 승용차가 많지 않던 시절 '연예인 마이카(my car)족 1호'로 불리며 전성기를 구가했다고 한다. 고인은 한명숙·패티킴·이미자 등과 어깨를 나란히 했고, 손석우·길옥윤 등 당대의 대표적인 작곡가들의 곡을 받았다.

고인은 71년 이봉조씨가 작곡한 '별'로 제4회 그리스 국제가요제 '송 오브 올림피아드'에 입상하면서 해외에도 이름을 알렸다. 81년엔 미국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돼 축가를 부르기도 했다. 임진모 대중음악 평론가는 "한국 가요에 트로트와 신민요('천안삼거리' 등 민요풍 가요)만 있던 시절, 미8군을 통해 들어온 미국 음악의 정체성을 국내에 소개한 대표적인 메신저이자, 스탠더드 팝의 영역을 확장한 뮤지션"이라고 평했다.

작곡가이자 색소폰 연주자였던 이봉조(왼쪽)와 현미. 두 사람은 명콤비로 활약하며 1960년대 가요계를 풍미했다. 연합뉴스

생전에 가수로서의 자부심이 누구보다 강했던 고인은 2007년 데뷔 50주년 기자회견에선 "80세든, 90세든 이가 빠질 때까지 노래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힌 바 있다. 10년 뒤인 2017년 60주년 기념곡 '내 걱정은 하지 마'를 발표했다.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2'를 비롯해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최근까지 후배 가수들은 물론 대중과 소통했다.

이봉조씨는 가수 현미에게뿐 아니라 인간 현미의 인생에도 빼놓을 수 없는 존재였다. 미8군 활동 시절부터 3년간 열애를 한 두 사람은 대중의 축하를 받으며 세기의 결혼식을 올렸으나 이씨가 이미 결혼해 자녀까지 둔 상태였고, 76년까지 부부 관계를 유지하다 결별했다. 이후 두 아들을 고인이 길렀다. 첫째 아들 이영곤씨는 '고니'라는 예명으로 가수로 활동했다. 고인은 2014년 한 강연에서 "두 아이의 아버지이자 내 스승이었기 때문에 이봉조 추모음악회와 이봉조 묘 등을 관리한다"고 밝힌 바 있다.

고인은 1938년 평양에서 태어난 실향민 1세대다. 어린 시절 김일성 앞에서 노래를 부를 정도로 유명했던 그는 1·4후퇴 때 남한으로 내려왔다. 당시 헤어졌던 두 동생 중 김길자씨를 1998년 48년 만에 중국에서 상봉하기도 했다. 가수 노사연·사봉, 배우 한상진의 이모다.

1998년 4월 현미가 중국 장춘의 한 호텔에서 북한에 살던 동생 김길자씨를 만나 눈물을 닦아주는 모습. 연합뉴스


빈소는 서울 중앙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다.

김선미 기자 calli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