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이자 내렸지만…은행, 예금금리는 더 내렸다

김현경 2023. 3. 31. 12: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은행권의 예금·대출금리가 석 달 연속 하락했지만 은행의 이익과 직결되는 예대(대출-예금)금리차는 오히려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2월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평균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4%로 한 달 새 0.29%포인트(p) 내렸다.

2월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 평균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도 연 5.32%로 한 달 새 0.14%포인트 낮아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월 은행 예대금리차 1.63%p→1.73%p…두달 연속 확대

[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

지난달 은행권의 예금·대출금리가 석 달 연속 하락했지만 은행의 이익과 직결되는 예대(대출-예금)금리차는 오히려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2월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평균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4%로 한 달 새 0.29%포인트(p) 내렸다.

앞서 작년 12월(-0.07%포인트) 11개월 만에 하락한 뒤 3개월째 내림세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3.53%)가 0.34%포인트, 금융채 등 시장형금융상품 금리(3.57%)가 0.13%포인트 떨어졌다.

2월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 평균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도 연 5.32%로 한 달 새 0.14%포인트 낮아졌다. 역시 석 달 연속 하락이다.

세부적으로는 가계대출(5.22%)이 0.25%포인트 내렸다. 주택담보대출 금리(4.56%)가 0.02%포인트, 신용대출 금리(6.55%)도 0.66%포인트 떨어졌다. 6%대 신용대출 금리는 2022년 9월(6.62%) 이후 처음이다.

기업 대출금리(연 5.36%)의 경우 0.11%포인트 하락했는데, 중소기업 대출금리(5.45%)의 낙폭(-0.22%포인트)이 대기업(5.24%·-0.06%포인트)보다 더 컸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운데 2월 신규취급액 기준 고정금리 비중은 48.3%로 한 달 전보다 1.1%포인트 늘었다.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고정금리 비중이 커졌고, 고정금리 전세자금대출 취급도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예금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 즉 예대금리차는 1.78%포인트로 전월(1.63%)보다 0.15%포인트 커져 2개월 연속 늘어나는 추세다. 예금금리 하락 폭이 대출금리보다 컸기 때문이다. 신규 취급 기준이 아닌 잔액 기준으로도 총수신 금리(2.51%)가 0.03%포인트, 총대출 금리(5.11%)는 0.05%포인트 각각 올라 예대 금리차(2.60%포인트)가 0.02%포인트 더 벌어졌다.

은행 외 금융기관 중에서 상호저축은행 예금금리(1년 만기 정기예탁금 신규취급액 기준·4.14%)와 신용협동조합 예금금리(4.85%)가 한 달 새 1.06%포인트, 0.42%포인트 떨어졌다.

상호금융(4.51%), 새마을금고(4.95%)에서도 0.49%포인트, 0.32%포인트씩 예금금리가 낮아졌다.

대출금리 역시 상호저축은행(12.83%·-0.34%포인트), 신용협동조합(7.04%·-0.04%포인트), 새마을금고(6.89%·-0.13%포인트)에서 하락했다. 하지만 상호금융(6.35%)의 대출금리는 0.01%포인트 올랐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