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당365] 단백질 꽉 채운 ‘토마토 두부’ 파스타

최지우 기자 2023. 3. 31. 08: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면 요리 당길 때 있죠.

라면, 소면 등 다른 면류보다 혈당 부담 덜한 파스타 준비했습니다.

토마토 두부 파스타파스타면은 보통 100g이 1인분입니다.

든든한 고단백질 두부두부는 단백질이 풍부해 당뇨병 환자의 근육 생성을 돕고 혈당이 잘 조절되게 해줍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헬스조선DB
면 요리 당길 때 있죠. 라면, 소면 등 다른 면류보다 혈당 부담 덜한 파스타 준비했습니다. 맛있게 드세요!

강남세브란스병원과 함께하는 밀당365 레시피

오늘의 추천 레시피 배달 왔습니다!

토마토 두부 파스타
파스타면은 보통 100g이 1인분입니다. 면의 양을 약간 줄이고 두부를 넣어 포만감 느껴지게 만들었습니다. 가지도 듬뿍 넣어 파스타에 부족한 영양소 채웠습니다!

뭐가 달라?

듀럼밀 세몰리나 면으로
듀럼밀 세몰리나는 밀의 일종으로 다른 곡류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습니다. 백미의 단백질 함량이 6~8%인데, 듀럼밀은 13~16%입니다. 혈당지수(GI)도 40~55로 낮아 섭취 후 혈당을 천천히 올립니다. 소화 과정에서 천천히 분해돼 포만감이 오래 유지됩니다.

든든한 고단백질 두부

두부는 단백질이 풍부해 당뇨병 환자의 근육 생성을 돕고 혈당이 잘 조절되게 해줍니다. 단백질 속 아미노산인 글리신, 아르기닌은 인슐린 분비를 돕습니다. 콩으로 만들어 콩 속 이소플라본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 혈관을 깨끗하게 합니다. 두부는 80% 이상이 수분으로 이뤄져 있어서 포만감을 줍니다.

혈당 잡는 채소, 양파
양파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에 안성맞춤인 식재료입니다. 양파 속 케르세틴 성분이 혈당 조절을 돕고, 혈중 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춥니다. 10일간 양파를 섭취하자 공복혈당이 이전보다 감소했다는 경기대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양파에 풍부한 크롬은 인슐린 작용을 도와 혈중 포도당 소모를 촉진합니다. 혈관 건강에도 매우 좋은데요. 유화아릴 성분은 혈관 벽에 엉겨 붙은 노폐물을 제거하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돕습니다. 매운맛을 내는 알리신은 고혈당으로 끈적끈적해진 혈액이 엉겨 붙는 것을 막아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항산화 성분 풍부한 가지

가지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풍부해 몸속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해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가 뛰어납니다. 안토시아닌은 항산화 작용을 해 노화 방지에도 좋습니다. 가지는 칼로리가 낮고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입니다. 철분 함량도 높아 빈혈을 예방하고 적혈구 생성을 도와 몸속 단백질 대사에 도움을 줍니다. 가지는 익혀 먹으면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영양 밀도가 더 높아집니다.

재료&레시피(1인분)
듀럼밀 세몰리나면 80g, 다진 소고기 50g, 마늘 6쪽, 다진 양파 30g, 가지 1/2개, 두부 1/3모, 토마토소스 200g, 올리브오일·소금·후추 약간

1. 끓는 물에 면을 삶은 뒤,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2. 가지는 반으로 갈라 어슷 썰고 마늘은 얇게 편으로 썬다.
3. 두부는 1x1cm 크기로 깍둑썰기 한다.
4. 올리브오일을 두른 프라이팬에 가지를 볶은 뒤 꺼낸다.
5. 프라이팬에 마늘, 양파를 볶다가 어느 정도 익으면 소고기, 소금, 후추를 넣어 마저 볶는다.
6. 고기가 익으면 팬에 4의 가지, 토마토소스, 물 2큰 술을 넣고 졸인다.
7. 마지막에 두부를 넣고 한 번 끓인 뒤 면을 넣어 잘 버무린다.
✔ 당뇨병 궁금증, 한 곳에서 해결하세요.
포털에서 '밀당365'를 검색하시면, 당뇨 뉴스레터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