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증시]美증시 금융주↓ 기술주↑…코스피 0.5% 상승 출발 예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최대 증권사 '찰스 슈왑'이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간밤 미국 증시에서 금융주들이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장은 "미 증시가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 종료 기대에 힘입어 상승세가 지속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62% 상승한 점은 전일에 이어 한국 증시 강세를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라면서도 "여전히 은행 업종의 부진이 이어진 가운데 대출 축소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된 점은 부담"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최대 증권사 '찰스 슈왑'이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간밤 미국 증시에서 금융주들이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다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이 막바지에 이르렀다는 인식 덕분에 기술주가 뚜렷한 강세를 보이면서 반등 마감했다.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1.43포인트(0.43%) 오른 3만2859.03에 마감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3.02포인트(0.57%) 상승한 4050.83,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87.24포인트(0.73%) 오른 1만2013.47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가 종가 기준으로 1만2000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15일 이후 약 한 달 반 만에 처음이다.
모건스탠리가 찰스슈왑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하면서 찰스슈왑 주가는 4.96% 하락 마감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1.29%), 웰스파고(-1.55%) 등 대형 은행주도 미국 정부의 규제 강화 언급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겹치면서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등 일련의 사태에도 정부 당국의 적극적인 대처로 은행 시스템에 대한 불안은 잦아든 분위기다.
이날 코스피는 0.5% 내외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장은 "미 증시가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 종료 기대에 힘입어 상승세가 지속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62% 상승한 점은 전일에 이어 한국 증시 강세를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라면서도 "여전히 은행 업종의 부진이 이어진 가운데 대출 축소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된 점은 부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시기에는 역사적으로 테마 장세가 펼쳐진다는 점에서 전일에 이어 오늘도 테마 순환매가 지속될 전망"이라며 "한국 증시는 상승 출발이 예상되는 가운데 종목·업종 차별화 장세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 '따져보니 5년 이자만 16%'…매달 70만원 넣고 5000만원 받는 청년상품 나온다
- "이재명의 개딸=BTS의 아미"?…'팬덤 정당화' 우려 목소리
- [위기의전세]③갑론을박 전세 폐지론…"주거 사다리"vs"수명 다했다"
- 돈 딴 사람 찾기가 로또급…"美카지노, 고객 불리하게 규칙 바꿔"
- "출근하다 비명횡사할 뻔"…학교 외벽 잔해 시민 덮쳤다
- "마약보다도 구하기 힘들다"…AI 골드러시에 고부가반도체 '대박'
- "평생 광선검 사용금지"…법정에 선 다스베이더
- 정치농장된 동물농장…"방송 폐지해" vs "개 파양보단 낫지"
- 하태경 "日 욱일기와도 화해할 때 됐다"
- 흑인 인어공주 '별점 테러'에도…첫 주 2500억원 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