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때리니 지지율 올랐다? 민주당 '日멍게 반대' 삭발식까지

정용환, 황수빈 2023. 3. 30. 16:4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규탄 삭발 나선 윤재갑 해수특위 위원장.연합뉴스

‘친일 프레임’으로 윤석열 정부를 공격하는 더불어민주당의 전략이 통한 걸까. 한·일 정상회담이 열린 이달 들어 민주당의 정당 지지율이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30일 발표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사의 3월 5주차 전국지표조사(NBS, 27~29일)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30%→31%로 올랐다. 국민의힘(34%)과의 격차도 3%포인트차로 좁혔다. 3월 1주차 조사에서 9%포인트까지 벌어졌던 양당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는 모습이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이미 오차범위 안에서 역전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한국갤럽 3월 4주차(21~23일) 조사에선 민주당 지지율이 35%, 국민의힘이 34%로 나타났다. 3월 1주차엔 민주당(29%)이 국민의힘(39%)에 10%포인트나 뒤처졌는데, 단 3주 만에 따라잡은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민주당은 지지율 반등의 계기를 윤석열 정부의 대일 외교로 보고 있다. 정부가 지난 6일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의 배상금을 대납하는 방식의 ‘제3자 변제안’을 발표한 뒤로 지지율이 오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특히 16~17일 한·일 정상회담을 거치며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 대신 일본 이슈가 최대 쟁점이 되었다는 게 민주당 내부 분석이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중앙일보에 “정부가 대일 외교에 있어 무능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정부ㆍ여당으로 기울었던 ‘이대남’(20대 남성)이 무당층으로 대거 이동했다”며 “정부 외교에 대한 실망감, 반일 정서가 누적되면서 전 세대에 걸쳐서 민주당 지지율이 올랐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후쿠시마 수산물 수출, 역사 왜곡 교과서 검정 승인 등 일본 관련 논란이 이어지고 있어, 이 흐름이 5~6월까지 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16일 오후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한일 확대 정상회담 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표는 4·5 재·보선 유세에서도 연일 ‘일본발(發) 전쟁 가능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28일 “언제든 독도를 중심으로 분쟁이 격화돼 한반도가 전쟁의 폐허로 변할 수 있다”(경남 창녕 유세)고 말한 데 이어, 29일엔 “평화로운 한반도에서 언제 국지전이 벌어져 우리의 아들들이 갑자기 전장에서 죽을지 모른다는 불안함이 엄습한다”(충북 청주 유세)고 말했다. 30일 새벽엔 자신의 SNS에 “일본 멍게는 사도 우리 쌀은 못 산다?”는 메시지를 올려, 대통령의 양곡관리법 행사 여부까지 ‘친일 프레임’과 엮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페이스북에 30일 새벽 올라온 게시글. 인터넷 캡처

민주당 의원·지지자 300여 명은 이날 오전 국회 본청 앞 계단에 모여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반대 및 대일 굴욕외교 규탄대회’를 열었다. 당 해양수산특별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은 윤재갑 의원은 항의의 표시로 삭발했고, 이 대표는 윤 대통령을 향해 “굴욕 외교의 진상을 낱낱이 국민에게 알리고 국민과 역사에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민주당 의원 100여 명은 ‘후쿠시마산 수산물수입 절대 반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사 저지’ 등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그 뒤를 지켰다.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는 민주당 주도로 제출된 ‘일제 강제동원 굴욕 해법과 굴종적 한일 정상회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가 보고됐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정상 간의 외교 행위에 대해 국정조사를 한 적이 없다”고 반대했으나, 민주당은 관련 상임위에서 청문회를 열어서라도 조사하겠다며 첨예하게 맞섰다.

정용환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