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장에 채소 가꾸고 로봇이 치킨 튀긴다'…이마트, 미래형 마트 첫선

임춘한 2023. 3. 30.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마트는 30일 연수점을 몰타입의 미래형 대형마트로 재단장 오픈한다고 밝혔다.

연수점은 기존 1만2561㎡(3800평) 규모였던 매장을 5289㎡(1600평)로 압축하고, 1만1570㎡(3500평) 규모의 더 타운몰을 조성해 전문점과 테넌트를 대거 유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로서리 매장 규모 확대
전문점·테넌트 대거 유치
랜더스 광장 등 문화 공간 조성

이마트는 30일 연수점을 몰타입의 미래형 대형마트로 재단장 오픈한다고 밝혔다.

연수점은 기존 1만2561㎡(3800평) 규모였던 매장을 5289㎡(1600평)로 압축하고, 1만1570㎡(3500평) 규모의 더 타운몰을 조성해 전문점과 테넌트를 대거 유치했다. 이러한 혁신을 통해 연수점은 이마트 70%, 테넌트 30% 비중에서 재단장 후 이마트 30%, 테넌트 70%로 변화했다.

재단장한 이마트 연수점 내 실내 스마트팜[사진제공=이마트].

그로서리 매장은 오프라인 매장의 경쟁력인 체험형, 정보 제공형 매장에서 한발 더 나아가 압도적 규모에 다양성을 담은 넥스트 그로서리로 진화했다. 기존 3867㎡(1170평)이었던 그로서리 매장을 4297㎡(1300평)로 확대했다. 넓어진 매장은 신선함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는 신선식품, 오감이 충족된 프리미엄 즉석조리식품(델리), 고객 관점으로 큐레이션을 강화한 가공식품으로 채웠다. 특히, 우선 계절과 상관없이 신선한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실내 스마트팜 설치했다. 스마트팜 기업 엔씽과 연계해 매장 내 공간에서 직접 채소 4종을 재배하고 판매까지 한다.

축산 매장에서는 이마트 점포 중 가장 긴 30m 길이의 쇼케이스를 선보인다. 제주흑돼지, 듀록, 얼룩도야지, 호주산 고마블링 와규, 화식한우 등 시중에서 보기 어려운 다양한 축종을 취급한다. 숙성 전용 쇼케이스도 갖춰 등심, 토마호크, T본 등의 상품을 판매한다. 수산 매장에는 시그니처 참다랑어와 욕지도 생참다랑어(월 1회)를 운영하고, 매주 주말 매장에서 직접 참치를 해체해 고객이 원하는 형태로 손질해 판매하는 업그레이드된 오더메이드 공간을 만들었다.

델리 매장은 프리미엄 베이커리 블랑제리에서 국내산 저당앙금빵, 스톤밀씨앗빵 등 연수점 특화 상품을 판매한다. 화덕에서 구워낸 나폴리 피자와 신선한 샐러드를 만날 수 있는 오감만족 코너도 조성했다. 40여종의 즉석조리 반찬을 판매하는 오색밥상 매장도 들여왔다. 로봇이 직접 튀겨내는 로봇 후라이드 치킨도 처음으로 선보인다.

매장 입구와 2층엔 ‘찐맛집’ 식음료(F&B)와 ‘감성과 즐거움을 담은’ 라이프스타일·문화 테넌트가 자리 잡고 있다. 연수점은 반경 5km 핵심 상권 내 9세 미만 자녀를 둔 30~40대 가족 구성비가 높은 점을 반영해 F&B 25곳, 엔터테인먼트 3곳, 패션 22곳, 라이프스타일 14곳, 고객 편의시설 18곳 등 82개에 달하는 테넌트를 유치했다. 이는 이마트타운 월계점 92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숫자다.

남녀노소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도 조성했다. 1층에 위치한 랜더스 광장은 인천을 연고지로 둔 신세계그룹의 프로야구단 SSG 랜더스가 인천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고자 만들었다. 기존에 행사장으로 활용되던 1층 165㎡(50평)의 공간을 개조해 인천 랜더스필드 야구장의 선수 락커룸을 재현했다. 2층엔 국내 최초 트램폴린 테마파크인 바운스가 바운스칠드런스파크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인천 상권 최초로 760㎡(230평) 규모로 오픈한다.

정환성 이마트 연수점장은 “이번 재단장으로 오프라인 대형마트의 강점인 그로서리와 체험형 콘텐츠를 강화해 고객이 머물고 싶은 매장으로 혁신하고자 했다”며 “장보기는 물론 먹고 즐기고 트렌디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미래형 이마트로 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이마트 연수점 내 랜더스 광장[사진제공=이마트].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