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가 있는 아침] (169) 강호(江湖)에 봄이 드니
입력 2023. 3. 30. 00:40 수정 2023. 3. 30. 06:23
강호(江湖)에 봄이 드니
김굉필(1454∼1504)
강호에 봄이 드니 이 몸이 일이 하다
나는 그물 깁고 아희는 밭을 가니
뒷 뫼의 엄긴 약(藥)을 언제 캐려 하나니
- 병와가곡집
난세의 벼슬은 불길과 같다
대자연에 봄이 오니 할 일이 많아졌다. 나는 그물을 깁고 아이는 밭을 간다. 뒷산에는 약초가 길게 자라 있는데 그건 또 언제 캔단 말인가. 농촌과 자연 속의 삶이 이러하였다. 김굉필(金宏弼)은 어려서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 들었고, 1480년(성종 11) 생원시에 합격해 성균관에 입학했다. 1494년 남부참봉에 제수돼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1497년 형조좌랑에 올랐다.
그러나 연산군이 즉위하고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붕당을 만들었다는 죄목으로 장(杖) 80대와 원방부처(遠方付處) 형벌을 받고 유배됐다. 유배지에서도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힘써 평안도 희천에서 조광조(趙光祖)에게 학문을 전수해 우리나라 유학사의 정맥을 잇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어 갑자사화 때 무오 당인이라는 죄목으로 극형에 처해졌다.
난세의 벼슬살이는 뜨거운 불길과 같다. 그가 시조에서처럼 향리로 물러나 자연 속에 살았다면 신명(身命)을 보존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 험난함을 현대에서도 보고 있지 않은가. 이 시조는 황희 작으로 전하는 판본도 있다.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중앙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박수홍, 방송 끊겨 돈 없었다…수임료로 김 주더라" 변호사 눈물 | 중앙일보
- 女손님 가면 수상한 음식 먹였다…비열한 日미슐랭 셰프 최후 | 중앙일보
- 아파트 갈아타기 네 번으로, 반포 100억 펜트하우스 가진 방법 | 중앙일보
- 석방 직후 새벽 광주 도착한 전두환 손자, 제일 먼저 한 행동 | 중앙일보
- 바람피운 약혼자…"프러포즈 비용도 뱉어내" 파혼싸움의 결말 | 중앙일보
- 금값 35만원, 할머니는 금니도 팔았다…짠한 '거꾸로 골드러시' | 중앙일보
- '주식 대박' 前 수협 회장 115억 늘어…1등은 532억 강남구청장 [재산공개] | 중앙일보
- 김재원 '제명' 거론한 홍준표…TK 앞 갈린 해묵은 감정 뭐길래 | 중앙일보
- [단독] 국회의원 300명 정보 北 손에…총선 행동 방향도 지시 | 중앙일보
- '16강 자축'하며 100명 사면한 축구협회…하태경 "샅샅이 조사"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