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전기요금 누진제’ 대법 판단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력 수요가 늘어나는 여름철마다 '전기요금 폭탄'을 맞는 게 우리 현실이다.
그 주범은 누진제다.
전기요금 누진제가 부당하다며 소비자들이 한국전력을 상대로 낸 소송 14건 중 3건에 대한 대법원 첫 판단이 내일 나온다.
전 세계에서 전기요금 누진제를 적용하는 나라도 미국의 일부 주와 일본 대만 정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력 수요가 늘어나는 여름철마다 ‘전기요금 폭탄’을 맞는 게 우리 현실이다. 그 주범은 누진제다. 누진제는 1973년 석유파동을 계기로 이듬해 말 도입됐다.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에서 전기를 절약해야 한다는 취지다.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급등하는 요금을 적용한다. 누진 구간은 12단계까지 갔다가 여러 번 조정을 거쳐 2016년 12월부터 현 3단계로 완화됐다. 우리 전기요금체계는 용도에 따라 주택용, 일반용, 산업용, 교육용, 농사용, 가로등의 6가지로 분류돼 있다. 문제는 누진제가 유독 주택용에만 적용된다는 점이다. 형평성 논란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전기요금 누진제가 부당하다며 소비자들이 한국전력을 상대로 낸 소송 14건 중 3건에 대한 대법원 첫 판단이 내일 나온다. 2014년 소송이 제기된 이후 9년 만의 최종 결론이다. 소송은 노무현 전 대통령 사위인 곽상언 변호사가 주도하며 끈질기게 법정 다툼을 이어왔다. 쟁점은 누진제 약관이 약관규제법상 무효 사유에 해당할 정도로 공정성을 잃었는지 여부다. 하급심에선 거의 대부분 패소했지만 승소한 적도 한 번 있다. 2017년 인천지법 1심 판결이 그것. 당시 재판부는 합리적 이유 없이 차별적 요금체계를 적용한 건 부당하다고 봤다. 하지만 이것마저도 2심에서 전기가 필수 공공재인 만큼 과도한 제약이 아니라는 이유로 뒤집혔다.
14건의 집단소송 참여 인원은 1만명이 넘는다. 이들이 반환을 요구한 한전의 부당이득금은 58억원에 육박한다. 상식의 눈으로 보면 주택용만 타깃으로 한 누진제는 불공평하다. 국내 전기 사용량의 절반 이상을 소비하는 산업용(55%)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일반용(22%)은 놔두고 주택용(15%)만 절약의 희생양으로 삼았으니 누가 납득할 수 있겠는가. 전 세계에서 전기요금 누진제를 적용하는 나라도 미국의 일부 주와 일본 대만 정도다. 일단 하급심 판결 추세로 볼 땐 원고들에게 불리한 상황인 듯한데 대법원은 어떤 결론을 내릴까. 지구상에서 보기 힘든 기형적 요금체계가 이번엔 혁파될 수 있을까.
박정태 수석논설위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도시락 반찬 맛있다며 사귀자는 이혼男 상사” [사연뉴스]
- ‘뒷짐 진 여경’ 논란…관할서 판단은 ‘부적절’ [영상]
- 이래서 탈출?… 세로에 ‘원투 펀치’ 날리는 캥거루 영상
- 조민 “포르쉐 탄 적 없어…10년 동안 아반떼만 탔다”
- 尹 “北퍼주기 중단…핵개발 상황선 단돈 1원도 못 줘”
- 지하4층 소독하다 사망… 금감원 “CCTV 원본 못 준다”
- 옆차 타이어에 3m ‘붕’…아찔한 기아 쏘울 美사고 [영상]
- “요즘 여학생들, 대가리 비었다” 대학 강사의 막말
- “소개팅 갈비탕 흡입男… 만나야 할까요” [사연뉴스]
- 유아인 “반성한다”며 호화 변호인단…마약통 檢 출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