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서 물 수천억t 찾았다…인류 거주 계획 청신호

김동표 2023. 3. 28. 17: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달 표면에서 물 수천억t을 얻을 가능성이 확인되면서 달에 임시 기지나 정착촌을 세운다는 인류 계획에 청신호가 켜졌다.

연구진은 이 같은 유리 알갱이 수십억 개가 달 표면 전체에 걸쳐 분포해 있으며, 이들이 머금은 물의 양은 최소 3억t에서 최대 2700억t에 이를 수 있다고 판단했다.

연구에 참여한 중국 난징대학 허지우 후이 교수도 "달 표면에 물을 재충전하는 게 가능하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토양 분석결과 '물 담긴 유리 알갱이' 전역에
"달에 기지 건설하려는 인류의 중요 분기점"

달 표면에서 물 수천억t을 얻을 가능성이 확인되면서 달에 임시 기지나 정착촌을 세운다는 인류 계획에 청신호가 켜졌다.

AP통신, 텔레그래프 등에 따르면 중국과학원대학교(UCAS) 등 국제 연구진은 중국 무인 달 탐사선 창어(嫦娥) 5호가 2020년 12월 지구로 귀환할 때 가져온 달 토양 샘플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과학 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에 2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달 [사진출처=EPA연합]

연구진은 이 토양 샘플에서 지름 1㎜ 미만의 작은 유리 알갱이 117개를 발견했다.

이들 알갱이는 과거 운석이 달과 충돌하는 순간 생성됐고 이후 태양풍을 맞으면서 물을 함유하게 된 것으로 분석됐다.

유리 알갱이는 혜성이나 운석이 충돌할 때 순간 온도가 높아지면서 땅속의 규소가 녹았다가 굳는 과정에서 생긴다.

태양풍은 수소 양이온이 대부분인 대전 입자로 구성돼 있으며 달 표면의 산소 원자와 만나면 수산기를 형성한다. 수산기는 물(H₂O) 분자의 주요 성분이다.

이들 유리 알갱이는 스펀지처럼 물을 흡수할 수 있다는 게 천문학계 설명이다. 연구진은 이 같은 유리 알갱이 수십억 개가 달 표면 전체에 걸쳐 분포해 있으며, 이들이 머금은 물의 양은 최소 3억t에서 최대 2700억t에 이를 수 있다고 판단했다.

유리 알갱이 하나하나에 담긴 물은 소량이지만 이를 한데 모으면 수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추정이 나온다.

달 표면에서 발견된 유리 입자들 [네이처 지구 과학(Nature Geoscience) 홈페이지 발췌]

해당 연구에 참여한 영국 오픈 대학 소속 행성 과학·탐사 교수 마헤쉬 아난드는 섭씨 100도 정도로 이 유리 알갱이를 가열하면 안에 있는 물을 추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도 탐사 위성을 통해 달 극지방과 지표층 안에 물이 있다는 증거를 관측한 바 있으나 이곳의 물을 채취하는 방법을 찾는 건 어려운 일이었다.

아난드 교수는 미래의 달 탐험가에게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됐다면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달을 탐사할 수 있는 잠재력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연구에 참여한 중국 난징대학 허지우 후이 교수도 "달 표면에 물을 재충전하는 게 가능하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말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이번 발견은 달에 기지를 건설하려는 인류의 계획에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