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효승의 역사 속 장소 이야기㉔] 평화에 가려진 진실

데스크 입력 2023. 3. 28. 14: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났다.

개전 직전 대한제국의 외교를 담당하는 외부에서는 외부대신 명의로 각국에 러시아와 일본 간의 분쟁에 대해 고종의 명에 따라 엄정한 중립을 선언한다는 서신을 보냈다.

실제로 그들은 진심으로 러시아를 침략 세력으로 인식하고 일본과 합심하여 동양의 평화를 위해 대한제국에서 몰아내고자 했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제국 외부 청사 터 (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붉은 실선 내 구역 (출처 : 대한제국 외부 청사 위치 추정 근거 ‘광화문외제관아실측평면도(光化門外諸官衙實測平面圖)’(국가기록원) 현재지도 : 네이버 지도, 붉은 실선 표시 필자)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났다. 개전 직전 대한제국의 외교를 담당하는 외부에서는 외부대신 명의로 각국에 러시아와 일본 간의 분쟁에 대해 고종의 명에 따라 엄정한 중립을 선언한다는 서신을 보냈다. 하지만 대한제국은 일제의 강요로 한일의정서 등을 체결하면서 결국 전쟁 중에 일본에 협력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일본이 협력을 강요하면서 내세운 논리가 이른바 ‘동양 평화’였다.


대한제국의 중립 선언에 대한 당시 서구 언론의 풍자화 (출처 : Punch or The London Charivari, vol 126, 3 Feb 1904)

일본은 러일전쟁 직후 이토 히로부미를 대한제국에 보내 협력을 강요하였다. 이때 이토 히로부미는 고종에게 한·중·일 삼국이 상호 협력을 통해 문명을 증진해 구미 각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때 러시아는 문명국가를 위장하고 있으며, 침략을 일삼는 국가라고 하였다. 즉, 러시아는 동양의 평화를 위협하는 침략 세력이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대한제국이 일본에 적극 협력하여 존망을 같이 할 때 비로소 일본은 한국의 국권을 보전해줄 수 있다는 것이었다.


당시 일부 국내 언론에서는 ‘동양의 평화’라는 미래를 기대하며, 일본에 협력해야 한다는 논설을 싣기도 하였다. 실제 일부에서는 이러한 기대에 적극적으로 호응하였다. 그들은 러시아군의 동향을 파악하여 일본군에게 알려주거나, 일본군의 보급을 지원하였다. 일본은 러일전쟁 이후 이들이 일본의 승리에 기여한 공로를 치하하여 훈장을 수여하였다. 그중에는 훈1등 욱일장을 받은 사람도 있었다.


경의 철도에서 일본군 철도대대 (1904년 6월) (출처 : ‘코넬대학교 도서관 소장 윌러드 스트레이트의 서울사진’(서울역사박물관, 2016)

당시 일본으로부터 훈장을 받은 이들의 주요 공적을 살펴보면 공통점 중의 하나가 일본군의 보급을 지원했다는 것이다. 러일전쟁 개전 직후 수만 명의 일본군이 한반도에 상륙하여 북쪽을 향해 이동하였다. 이때 일본군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가 수송에 대한 문제였다. 대한제국의 주요 항구를 강제로 군용지로 만든 후 병참선을 구축했지만, 상륙과 내륙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여전히 많은 문제가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 교통 전도 (1910년) (출처 :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일본군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도를 건설하는 한편 한국인을 동원하거나, 선박과 우마차 등을 징발하였다. 이때 러시아의 위협과 ‘동양의 평화’ 등을 내세우며 자발적으로 선박을 지원해 일본군의 상륙을 지원하거나, 어떤 이들은 일본군이 지역에 머무를 때 숙소와 양곡 등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지역 관리 중에는 일본군이 해당 지역을 통과할 때 수만 명의 지역민을 동원하여 일본군의 수송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동양의 평화를 주장하며 러일전쟁에서 일본의 승리를 위해 노력하던 이들에게 남겨진 미래는 일본군의 한국 주둔과 1910년 일제의 대한제국 강제 병합이었다. 실제로 그들은 진심으로 러시아를 침략 세력으로 인식하고 일본과 합심하여 동양의 평화를 위해 대한제국에서 몰아내고자 했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들의 진심이 그리는 미래는 너무나도 근시안적이었다. 그조차도 그들이 바라는 동양의 평화는 일본에 너무나도 의존하였고, 일본이 그려준 것이기에 사실상 우리의 미래라고 할 수도 없었다.


신효승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soothhistory@nahf.or.kr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