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골두메 돌며 민심 심층취재

김삼웅 입력 2023. 3. 27. 15: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에서 취재를 마친 김자동은 경북지역 산골두메의 취재에 나섰다.

며칠 동안 취재를 마치고 3월 29일 치에 "날로 늘어가는 절량민(絶糧民), 전농가의 반수 넘어, 기대 건 국토사업에도 실망의 빛 - 초근목피로 근근이 연명"이란 제목의 기사를 썼다.

"경북의 절량지대 - 산나물마저 떨어진 두메, 굶다 굶다가 부황증 들어" 제목의 기사다.

교통이 불편하던 당시 경북 산골두메를 다니며 취재한 실태보고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삼웅의 인물열전 - 시대의 상식인 김자동 평전 37] 교통이 불편하던 당시 경북을 다니며 취재한 실태보고

[김삼웅 기자]

 민족일보 창간호
ⓒ 민족일보
 
대구에서 취재를 마친 김자동은 경북지역 산골두메의 취재에 나섰다. 며칠 동안 취재를 마치고 3월 29일 치에 "날로 늘어가는 절량민(絶糧民), 전농가의 반수 넘어, 기대 건 국토사업에도 실망의 빛 - 초근목피로 근근이 연명"이란 제목의 기사를 썼다.

이어서 4월 4일부터 3회에 걸쳐 '현지보고' 기사를 썼다. 여기서는 4월 5일 치에 실린 두 번째 기사를 소개한다. "경북의 절량지대 - 산나물마저 떨어진 두메, 굶다 굶다가 부황증 들어" 제목의 기사다. 교통이 불편하던 당시 경북 산골두메를 다니며 취재한 실태보고이다. 

현지보고(現地報告) 

율곡부락에서는 얼굴이 누렇게 부은 사람들을 얼마든지 볼 수 있다. 
김재수(30) 씨도 부황증에 걸린 사람 중의 하나이다. 자기 땅이 없어 남의 땅을 갈고 있는데 반타작을 하여도 풍년이 되면 겨우 양식을 안떨어지게 할 수 있는 집이라 한다. 작년의 흉작 때문에 음력설 전에 벌써 양식이 떨어졌으며 지금은 쌀겨와 수수가루에 시레기죽을 끓여서 먹으며 목숨을 이어 나간다고 한다. 

네 식구 중 일 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뿐이라 나무를 해다 팔 시간도 없으며 산나물을 캐올 사람도 없다는 것이다. 4년 전에 제대한 김씨는 50쯤 되어 보였으며 그래도 이제는 자기가 있어 형편이 나아진 편이라고 설명하였다. 군에 간 동안 늙은 아버지는 동네의 동정으로만 살아왔다고 그는 말하였다.

그 이웃에는 밭 두 마지기로 살아가는 늙은 부부가 있었다. 좀 큰 애들은 읍에서 남의 집에 살고 있으며 어린 4남매를 데리고 사는 이집은 60된 영감 혼자서 밭일을 하는 형편이다.

이 노인이 나무를 해다 팔면 4, 5백환을 받을 수 있다고 말하였다. 이것도 나무 캐는 데 하루 걸리며 파는데 하루가 걸리니 하루에 평균 200환 수입도 못되는 셈이다.

그 집 식구들은 굶기가 일쑤라 한다. 어린 애들이 산나물도 더러 캐오나 이곳 산에는 쑥도 별로 없으며 칡뿌리는 애들의 기운이 모자라 잘 캐지도 못한다는 것이다.

저녁을 짓고 있는 부엌을 들여다보니 콩잎을 끓이고 있다. 여기에 보리 몇 알 넣어 죽이라고 먹는다고 한다.

"그것도 계속 안 됩니다. 그저 굶다 먹다 하며 허리를 졸라매며 살아가는 것이지요."

누렇게 들뜬 그의 얼굴에는 희망도 없으며 누구를 원망하는 빛도 없었다. 타고난 팔자를 한탄할 뿐이다. 뜰에 놓아기르는 닭 두 마리와 우리에 송아지가 한 마리 있는데 그것도 남의 것이라 한다. 그나마 있으니 '빚'도 더러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그 노인은 설명해 준다. 

이것이 율곡만의 형편이 아니라 청송면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실정이다. 이 어처구니없는 현실에 대하여 당국에서는 구정권에서 물려받은 것이라는 점만 말하고 있다. 농림부의 구호책이란 보사부에서 맡아 할 구호책 정도 이것에 지나지 않는다. 구 정권 때는 외식이 붙었던 대여양곡에 이식이 없어졌다는 것만을 내세우나 그나마 대여된 양곡이 부족된 식량에 비하면 수십 분의 일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농림부에서도 자인하고 있듯이 이들에 대한 항구적인 구호책이란 찾아볼 수 없다.
수리사업에 있어서도 이 정권 때 계획안한 것 마저 못하고 있는 형편이라 한다. 율곡의 경우만 하여도 한 사람이 평균 2만환이 넘는 빚을 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현 농가부채를 8백억 환으로 추산하고 있는데 적어도 청송군의 경우를 보면 이렇게 적은 숫자가 나올 도리가 없으며 어떻게 통계를 낸 것인지가 의심스럽다. 2천억 환이 되리라는 일반적 추산보다도 오히려 훨씬 넘지 않을까 여겨진다.(김자동 기자) (주석 11)

주석
11> <민족일보>, 1961년 4월 5일.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 시대의 상식인 김자동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이 뉴스에 대해 의견을 나눠보세요.
톡방 종료까지 남았습니다.

타임톡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