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갑자기 열이 납니다, 어떡하죠?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헬스조선 편집팀 2023. 3. 24. 11: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는 대부분 열 때문에 늦은 밤이나 새벽에 급하게 병원을 방문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열 나는 아이를 돌볼 때 알아둬야 할 몇 가지 주의사항들이 있다.

사실 열이 나는 아이 대부분 해열제를 먹고 수분 섭취 및 적절한 휴식을 취하면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39도 이상의 고열, 48시간 동안 38도 이상의 열, 3개월 미만의 영아 그리고 만성질환이 있는 아이라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서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아기의 약물치료 

아이를 키우는 부모는 대부분 열 때문에 늦은 밤이나 새벽에 급하게 병원을 방문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열 나는 아이를 돌볼 때 알아둬야 할 몇 가지 주의사항들이 있다.

열이 날 때
손으로 피부를 만져서 뜨거울 때 열이 난다고 하는 경향이 있지만, 체온은 ‘체온계’를 사용해서 객관적으로 측정해야 한다. 대부분 의사는 정확한 직장 체온계 약 ‘38도 이상’을 열(fever)로 생각하지만, 귀 체온계 정도도 충분하다.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조치는 해열제 복용이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또는 이부프로펜(부루펜Ⓡ) 시럽이 대표적이다. 처음 먹는 해열제라면 몸무게의 3분의 1 정도, 단위는 cc로 먹인다 생각하면 쉽다. 15kg 아이라면 5cc를 먹인다는 얘기다. 고열에 놀라 금방 해열제를 먹이고 병원에 데리고 오는 경우가 있다. 주사제를 바로 쓰면 과도한 해열제로 저체온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해열제를 먹었다면, 최소 ‘한 시간 이상’은 지켜보면서 미온수로 닦고 체온이 떨어지는지 살펴보고, 그래도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하면 된다. 

사실 열이 나는 아이 대부분 해열제를 먹고 수분 섭취 및 적절한 휴식을 취하면 큰 문제는 없다. 애들은 절대적인 열의 수치보다 ‘정신적-육체적 상태(performance)’가 더 중요하다. 열이 나도 잘 먹고 잘 논다면 어느 정도 견디고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39도 이상의 고열, 48시간 동안 38도 이상의 열, 3개월 미만의 영아 그리고 만성질환이 있는 아이라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서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1~3세 시기를 ‘유아기(toddler)’라 부른다. 이 시기 아이들은 액체를 마실 수 있고, 약간 단단한 것을 씹을 수 있다. 모든 새로운 것을 입으로 가지고 가는 특징이 있어 부모들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먼저, 모든 약물은 잠금장치가 있는 ‘안전한 수납장’에 보관하고, 애들이 열 수 없는 약병을 사용한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세제, 락스 등)’을 음식 통이나 음료수통에 보관하지 않는다. 맛이 좋지 않은 약들은 잼, 시럽, 과일, 음료 등과 섞어서 복용시킬 수 있다. ‘짧고 간결한 설명과 칭찬’ 등은 아이들에게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다.

간혹, “애가 해열제 시럽 한 병을 다 마셨어요”라며 병원을 찾는 경우가 있다. 사실 시럽 제품은 약물 성분 함량이 생각보다는 적어서 당장 위세척이 필요하지는 않다. 하지만, 병원 방문을 통해 약물 과량 복용에 의한 저체온, 간 손상 등이 생기는지 세밀히 지켜볼 필요는 있다. 

/기고자: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