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있는 휴일] 흰죽
입력 2023. 3. 23. 20:42
어느 가난한 흰빛의 최후를 수습한, 이 간결하고 맑은 슬픔은
결백을 달이고 달여 치명에 이른 순백의 맑은 독 같아서
험하게 상한 몸속의 사나운 짐승을 제압하는 일에 쓰인다네
차마, 검은 간 한 방울 떨어뜨려
흐린 제 마음 빛으로나 어둡게 받아야 하는 청빈의 송구한 맨살이라네
-이덕규 시집 '오직 사람 아닌 것' 중
흰죽 한 그릇이 눈 앞에 있는 듯 하다. 흰죽에는 소박한 음식이나 건강식이라고만 하기엔 뭔가 부족한 어떤 위엄이 있다. 농부시인 이덕규의 ‘흰죽’은 내용은 물론이고 형식으로도 흰죽을 탁월하게 묘사한다. 흰죽을 시로 쓴다면 마땅히 이런 모양이어야 할 것 같다.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국민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中대학 “꽃구경도 하고 연애 좀”…봄방학의 속사정
- ‘70㎝ 화살로 유기견 관통’ 범인 검거…“맞을 줄 몰라”
- [영상] “너가 여기서 왜 나와”…얼룩말 어린이대공원 탈출
- “프레시백에 쓴 기저귀를 왜 넣나”…쿠팡맨의 한숨
- “짬뽕에 엄지만한 벌레” 별점 테러…알고 보니 표고버섯
- 동부간선도로서 오토바이… ‘미스터트롯’ 정동원 적발
- 1000만명 훔쳐보는 누누티비 손들었다…“국내 OTT 삭제”
- 낮게 누워 책상 발 올린 ‘겸손맨’ 일냈다…“30만 돌파”
- 강남 여자 화장실, ‘비데’에서 카메라가 발견됐다
- “계모, 유산 뒤 학대 시작” 숨진 초등생, 끔찍했던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