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충격도 ‘양극화’…지방건설사 줄도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분양 충격도 양극화를 띠고 있다.
지방 소재 중소건설사를 중심으로 폐업이 속출하고 재무구조 부실의심 가능성이 커졌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소재 폐업 건설사는 227개(27.8%), 나머지 482개(61.7%)는 지방소재였다.
문제는 지방건설사를 중심으로 한계기업이 많아질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분양 충격도 양극화를 띠고 있다. 지방 소재 중소건설사를 중심으로 폐업이 속출하고 재무구조 부실의심 가능성이 커졌다.
2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일 기준 올해 폐업한 종합·전문건설업체는 803개(철회 19개 제외)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동기(718개)대비 13.9% 많으며 2016년(821개) 이후 최대치다.
폐업은 지방에 집중됐다. 20일까지 폐업 신고를 한 서울 소재 건설사는 94개로 전체 11.5% 수준이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소재 폐업 건설사는 227개(27.8%), 나머지 482개(61.7%)는 지방소재였다.
실제 미분양 물량도 지방에 몰려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월 기준 전국 미분양 7만7359가구 중 약 83%(6만4102가구)가 지방 소재다. 지방 미분양 물량만으로도 정부 위험수위(6만 가구)를 웃돈다.
문제는 지방건설사를 중심으로 한계기업이 많아질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한계기업은 재무구조가 부실해 영업 활동으로 발생한 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이다.
한국은행은 ‘2023년 3월 금융안정상황’에서 건설경기 부진·원자재 가격 상승·이자비용 부담 등으로 건설기업 내 한계기업 비중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크게 상승했을 걸로 내다봤다.
한은이 2021년 외감 건설기업 표본(대기업 307개·중소기업 1306개)을 활용해 지난해 재무 위험을 모의 점검한 결과 지방 중소 건설기업 한계기업 비중은 1년 만에 4.4%p 오른 16.7%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 중소기업 한계기업 비중은 13.4%, 전체 중소기업은 15.0%로 추산됐다. 대기업 한계기업 비중은 9.4%로 계산됐다.
‘부실위험기업’ 비중도 마찬가지다. 지방 중소기업 부실위험 비중은 12.8%로 추산됐다. 대기업은 5.5%로 관측됐다. ‘부실위험기업’은 기업이 1년 후 부도를 맞을 확률이 5%를 넘는 기업이다.
타격이 심하자 분양시기를 늦추는 건설사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분양시기 조절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 서울 쪽이야 큰 문제가 있겠냐만은 지방에 국한된 얘기 같다”라며 “시장 분위기가 워낙 나쁘니까 모든 건설사가 '분양을 완전히 안 하겠다'가 아니라 '시기를 보면서 최대한 적당한 시기에 분양해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대면진료, 성인 ‘재진’만…새 법안에 “불공평” 아우성
- 데뷔 12주년에 완전체 코앞…‘2025 BTS 페스타’로 만끽하는 겹경사 [쿠키 현장]
- ‘장마·폭염’ 앞두고…서울 자치구, 여름 대비책은
- 생일날 워싱턴D.C서 열병식…트럼프 반대 시위 전국서 이어져
- “해수부 부산 이전, 해양수도 상징인가 비효율인가”…공론화 목소리[쿡~세종]
- 올 추석 10일짜리 ‘황금연휴’ 오나…1월27일 임시공휴일 사례 살펴보니
- 일요일 오후 전국 많은 비…낮 최고 기온은 32도 [날씨]
- 李대통령, 6·15 남북공동선언 25주년 “남북 대화채널 신속 복구”
- 이란-이스라엘, 이틀째 미사일·드론 맹폭 주고받아…전쟁 확산 우려
- 앞만 보는 ‘페이커’ 이상혁 “한화생명 남았다…승리에 머무를 시간 없어” [쿠키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