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익숙지’냐, ‘익숙치’냐
다음 중 표기가 바른 것은?
㉠ 익숙치 ㉡ 섭섭치 ㉢ 깨끗지
문제에서처럼 ‘-하지’가 줄어들 때 ‘치’가 되는지, ‘지’가 되는지는 다들 어려워하는 부분이다. 간결한 맛이 있기 때문에 세 글자로 적고 싶은데 쉽지가 않다. ‘치’가 되는지, ‘지’가 되는지는 ‘-하지’ 앞이 유성음이냐, 무성음이냐에 달려 있다. 목청이 떨려 울리는 소리가 유성음이고 성대를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가 무성음이다.
‘-하지’ 앞이 유성음(모음이나 ㄴ, ㄹ, ㅁ, ㅇ)일 때는 ‘ㅏ’만 떨어져 ‘ㅎ+지=치’가 된다. ‘흔치, 간단치, 만만치, 적절치, 가당치, 온당치’ 등이 이런 예다.
‘-하지’ 앞이 무성음(ㄱ, ㅂ, ㅅ)일 때는 ‘하’ 전체가 떨어지고 ‘지’만 남는다. ‘넉넉지, 거북지, 탐탁지, 답답지, 깨끗지, 떳떳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익숙치’ ㉡‘섭섭치’는 각각 ‘익숙지’ ‘섭섭지’가 맞는 말이다. ㉢‘깨끗지’는 바른 표기로 정답이다.
이러한 현상은 ‘-하다’ ‘-하게’ ‘-하도록’ ‘-하건대’가 줄어들 때도 마찬가지다. ‘다정하다→다정타’ ‘흔하다→흔타’ ‘간편하게→간편케’ ‘이바지하도록→이바지토록’ ‘생각하건대→생각건대’ ‘참석하기로→참석기로’ 등으로 적어야 한다.
유성음 뒤에서는 자연스럽게 거센소리가 나므로 크게 헷갈리지 않는다. 무성음인 ‘ㄱ, ㅂ, ㅅ’ 뒤에선 거센소리가 아닌 ‘지’ ‘게’ ‘다’ ‘기’ 등으로 적는다고 기억하면 쉽다.
그래도 어렵거나 헷갈리면 줄이지 말고 아예 ‘익숙하지’ ‘섭섭하지’ ‘깨끗하지’ 등으로 적으면 된다.
배상복 기자 sbbae@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 승리, 출소 후 근황 포착됐다…'옥바라지' 유혜원과 간 곳 어디 | 중앙일보
- "야한 소설 작가 굶어죽겠네"…챗GPT 음란 후기 판친다, 왜 | 중앙일보
- “내 아들이 데리러 올거야” 1984년 이혼 그날에 갇힌 엄마 | 중앙일보
- 조선 왕족과 재벌이 이 집 단골…샤넬도 반한 '금박 장인' | 중앙일보
- 고래연구소-나랑 딱 맞는 투자왕은 누구? | 중앙일보
- 백신 없다, 임산부 물리면 위험…코로나 끝나자 시작된 감염병 | 중앙일보
- 길가던 여성 앞 무릎 꿇은 육군 병사 "제발 얼굴에 침 뱉어달라" | 중앙일보
- "기이한 일" 15세인척 고교 입학…美 뒤집은 29세 한인 여성 | 중앙일보
- 호주 온 20대 한국인만 노렸다…와인 먹여 성폭행한 그놈 수법 | 중앙일보
- 유연석, 경비원 무시 의혹에 "사실무근…변호사 선임 마쳤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