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우울증 직장인'이 들으면 기겁할 말
당신 곁에 있을 수 있는 한 사람의 이야기를 합니다. 현재 조현정동장애(조현병과 우울증이 혼재된 정신질환)로 진단 받은 뒤 살아나가고 있습니다. 조현정동장애 환자는 2021년 기준 국내에 1만 2435명(건강보험심사평가원)입니다. 제 이야기를 통해 당사자들과 주변인들에게 힘이 되고자 하며,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에 보탬이 되고 싶습니다. <편집자말>
[율림 기자]
"저 사람 우울증이라 안쓰러워서 데리고 있어요."
20대 후반, 회사 일로 어느 회의에 갔다가 다른 회사 대표가 하는 말을 듣게 되었습니다. 그 자리에 함께했던 사장님들은 그 말에 '대표님이 참 노고가 많으십니다'라던가, '대표님 마음이 넓으시네요'라는 말들을 아무렇지 않게 웃으면서 했죠. 우울증을 오래 앓고 있었지만 그 사실을 밝히지 않았던 저는 슬픈 제 본심과 달리 웃는 표정을 하느라 애를 썼던 기억이 있습니다.
▲ 정신질환자의 업무 능력의 한계는 사람들의 편견이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정신질환자니까 능력에 한계가 있다고요. 이런 고정관념이 정신질환자의 노동을 거부하는 악습을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
ⓒ Nadine Shaabana |
그래서 듣기 싫은 말을 피하기 위해 다른 직원들이 인정할 정도로 열심히 업무에 임했어요. 운이 좋게도 일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회사에서 제게 정규직 계약 제안을 했습니다. 계약직 계약을 11개월 단위로 하고, 계약기간이 끝나면 다시 새로운 계약서로 계약해 연장 고용을 하는 기업들의 꼼수가 만연한 현실에서 정말 잘 된 일이었죠.
당연히 정규직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 관리직으로 승진하면서 일거리와 책임이 늘었죠. 힘들었지만 얼마 없는 기회를 놓치기 싫어 일에 더 집중했습니다. 처음에는 모든 일이 잘 풀리는 듯했어요. 하지만 점차 몸이 망가지기 시작했습니다. 새벽에 잠을 두 시간에 한 번씩 깨고, 신경성 방광염이 생겨 화장실을 들락날락하는 일상이 이어지니 정신적으로도 견디기 힘들었어요. 결국 저는 정규직으로 일하는 걸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정규직을 포기하고 계약직 계약 기간이 끝나 퇴사하자 우울감에 휩싸였습니다. 제가 정신질환자라는 한계를 가졌기 때문에, 그 한계를 무시하고 일을 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매일 들었습니다. 하지만 쉬면서 몸 건강을 챙기다 보니 조금 다르게 생각하게 되었어요.
제가 다니던 회사는 환경적으로 열약했고, 관리직 직원도 많지 않아서 자연적으로 제가 맡은 일의 업무가 과중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수인계를 해 줄 사수도 없었고 처음부터 전부 맨땅에 머리를 부딪히면서 하나하나 일을 처리해야만 했습니다. 즉, 정신질환자가 아닌 사람이 일을 해도 스트레스를 엄청나게 받는 환경이었던 거죠. 그 사실을 깨닫고 나서야 마음이 조금 편해졌습니다.
뼈 아픈 실패를 겪고 나서 정신질환자로서 저의 정신과 몸 상태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동시에 사회인으로서 회사에서 일을 하면서 정신질환자라고 쉽게 밝힐 수 없는 현실이 씁쓸했어요.
정신질환자라고 해서 일을 엉망진창으로 하거나 업무 효율이 무조건 평균보다 떨어질 거라고 생각하는 건 편견입니다. 설사 그렇다고 하더라도, 모든 사원이 회사에서 상정하는 '비질환자'의 업무 수행 능력에 맞추어 업무를 수행하는 건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비질환자'의 기준부터 정확하지 않고 애매해요. 한 사람이 살면서 어떤 질환도 앓았던 적이 없거나, 앓았다고 해도 완벽히 전과 같은 업무 수행 능력을 가지기란 어렵습니다. 게다가 우울증 같은 정신질환이 널리 퍼진 시대에 여전히 '비질환자'를 기준으로 업무 목표를 정하는 건 합리적이지 않다고 여길 수밖에 없습니다.
▲ 노동자의 정신질환 보유 여부와 상관없이 지금 한국의 노동 조건과 업무 정도가 가혹하다는 생각이 종종 듭니다. 모두가 행복한 노동 환경을 위해 개선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
ⓒ Luis Villasmil |
이런 노동 조건이나 업무 프로세스는 비질환자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게 분명하지만, 그들도 견디기에 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이른 나이에 퇴사를 하고 직장을 자주 옮겨 다니는 젊은이들이 많아졌다는 뉴스 기사가 최근 몇 년 사이에 많이 늘어난 듯한 게 제 기분 탓은 아닐 겁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주 69시간 근무제라는 제도 개편이 추진되면서 걱정이 앞서요.
그렇기에 사회의 정신질환자의 업무 능력에 대한 인식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모두가 행복한 노동을 위해서는 각 기업의 업무 시간과 목표를 다시 점검해봐야 한다고 주장해봅니다.
정신질환을 가진 분들이 정신질환자라는 사실을 회사에 밝히라고 말하고 싶진 않습니다. 저도 선뜻 그럴 용기가 생기지 않고요. 그 대신 정신질환을 가지고서 일을 하는 자기 자신에 대해 자긍심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정신질환자이기 때문에 인정받아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해서 무리하게 일을 해 건강이 악화되거나, 칭찬이나 인정을 받아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일이 없길 바라요.
정신질환자인 당신은 이미 충분히 온 힘을 다해 일을 하고 있을 테고, 서 있는 자리에서 꾸준히 업무를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최선을 다하는 거라고 자기 자신을 응원하면 좋겠습니다. 세상의 편견과 비하에 맞서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며 노동을 하는 세상의 모든 정신질환자분들을 응원합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이 뭘 약속했기에... 일본에선 "진심으로 놀랍다"
- 군홧발의 시대는 끝났다고? 이 노래패는 바보가 아닙니다
- 대학생만 '100만원 축하금' 주는 군 장학회... "차별에 화가 난다"
- "제3자 변제로 대법 판결 무시한 대통령, 탄핵 말고 방법 있나"
- 최상위권 학생 재입학 편법, 그냥 두는 게 맞습니까
- "이태원 희생자+생존자 450명 금융조회, 별건 수사 때문이냐?"
- 강릉 가시는 분들, 4월 지나면 이거 못 먹습니다
- 정순신 아들 '전학취소' 강원교육청 직원들, 청문회 증인 소환
- [오마이포토2023] 선거제 개편안 의결, 악수하는 정개특위 여야 간사
- 북한, 순항미사일 여러 발 발사... 한미 연합연습·훈련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