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집이 안 팔린다"…2월 아파트 입주율 하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 주택시장 침체가 여전한 가운데 기존 주택 매각도 지연되면서 지난달 아파트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산연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주택가격 하락세와 거래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리 인하와 대대적인 규제 완화로 수도권 인기 지역부터 주택가격 하락세가 둔화되고 거래량이 회복되는 추세에 들어섰으나, 지방 주택시장은 여전히 침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방 주택시장 침체가 여전한 가운데 기존 주택 매각도 지연되면서 지난달 아파트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3.3%로 1월 대비 3.3%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75.2%에서 77.1%로 상승했으나, 5대 광역시는 65.8%에서 60.6%로, 기타 지역은 63.9%에서 60.1%로 내렸다.
수도권인 서울(79.2→79.7), 인천·경기권(73.2→75.8)은 입주율이 상승했으나, 비수도권은 강원권(60.0→52.0), 대전·충청권(66.5→59.7), 광주·전라권(61.6→59.3), 대구·부산·경상권(64.9→62.7)에서 입주율이 모두 하락했다. 주산연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주택가격 하락세와 거래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리 인하와 대대적인 규제 완화로 수도권 인기 지역부터 주택가격 하락세가 둔화되고 거래량이 회복되는 추세에 들어섰으나, 지방 주택시장은 여전히 침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최근 발생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과 3월 기준금리 추가 인상 및 우리나라의 수출 부진과 경기침체 확장국면으로 인해 당분간은 침체국면을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입주 원인 중 ‘기존 주택매각 지연’은 전월 41.7%에서 44.4%로 상승해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했다. 반면 ‘세입자 미확보’(33.3%), ‘잔금대출 미확보’(14.3%), ‘분양권 매도 지연’(1.6%)은 지난달보다 감소했다.
한편 2월 대비 3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2.1에서 80.2로 8.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주산연은 "규제지역 전면 해제, 전매제한 기간 완화, 다주택자 규제 완화, 무주택자 대출규제 완화, 부동산 관련 세제 완화 계획 발표 등 주택시장 연착륙 대책에 대한 기대심리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 '출가 후 둘째아이' 논란 도연스님 "전 부인이 유전자 검사 거절"
- "집 인테리어 회삿돈 1000만원"…이선희 또 횡령 의혹
- 최태원 "테니스 치다 발목 부상…다섯시간 만에 퇴원"
- '회식장면 공개했더니 주가 28% 급락'…"아티스트 활동도 공시" 목소리
- 韓, U-20 월드컵 결승행 좌절…'거친 몸싸움' 伊에 1대2 패배
- "포커로 20억 벌어" 홍진호, 국제대회서 또 2.7억 상금
- '시진핑 어록' 주고 "본인의 생각 서술하라"…中대입시험
- 빚만 느는 자영업자…5대銀 대출 올해만 1조 증가
- 분당갑 사수 나선 安…이번에는 총선 '안' 철수
- 빚만 느는 자영업자…5대銀 대출 올해만 1조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