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펀지 수세미' 대변 만큼 많은 세균 발견… 강력한 살균법은?

이해나 기자 2023. 3. 21. 0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설거지할 때 쓰는 스펀지, 수세미, 솔은 음식물 찌꺼기, 물에 자주 노출돼 세균이 잘 번식한다.

연구팀은 "물로 헹구기, 비누로 씻기, 식기세척기에 넣기, 표백하기 등 다양한 세척 방법을 시도했지만, 세균 수를 크게 줄이지는 못했다"며 "제대로 건조됐을 때만 검출되는 세균 수가 적었는데, 설거지 솔이 스펀지보다 훨씬 빨리 건조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설거지용 스펀지, 수세미, 솔은 반드시 위생적으로 관리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설거지할 때 쓰는 스펀지, 수세미, 솔은 음식물 찌꺼기, 물에 자주 노출돼 세균이 잘 번식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많은 가정 도구 중 하나로 설거지 스펀지를 꼽기도 했다. 스펀지, 수세미, 솔 관리법을 알아본다.

◇스펀지, 표백제로 관리하고 1~2주 단위로 교체
스펀지 안에는 엄청난 양의 세균이 살고 있다. 독일 응용미생학물연구소, 푸르트반겐대학 의생명과학부, 헬름홀츠 환경보건연구센터 공동연구팀은 14개 주방용 스펀지 세균의 DNA를 배열해봤다. 그 결과, 인분(사람의 변)에나 있을 법한 정도로 많은 양의 세균이 발견됐다. 면역 체계가 약한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는 ‘모락셀라 오슬로엔시스’도 발견됐다. 이 균이 번식하면 스펀지에서 꿉꿉한 냄새가 난다.

스펀지는 1~2주 단위로 교체하는 게 가장 좋다. 교체 전에는 표백제를 이용해 관리한다. 미국 굿하웃스키핑연구소에 따르면 가장 강력한 스펀지 살균법은 4분의 3 컵의 표백제를 섞은 4리터의 물에 스펀지를 5분간 담가놓는 것이다. 이후 스펀지를 물로 헹구면 된다.

◇솔, 스펀지보다 위생적이지만 제대로 건조해야
설거지 솔은 스펀지보다 위생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노르웨이 식품 연구 기관 노피마(Nofima) 연구팀은 설거지 스펀지 14개와 설거지 솔 35개를 수집해 세균 수를 확인했다. 두 종류 모두 일주일에 5~6번 이상 사용됐다. 연구팀은 두 주방용 도구에 살모넬라균을 뿌린 후 세척시킨 뒤 건조했다. 그 결과, 설거지 솔은 스펀지와 다르게 살모넬라균 수가 세척하기 전보다 줄어들었다. 그러나 설거지 솔도 사용 후 제대로 건조시켜야 세균이 감소된다. 비닐봉지에 보관된 솔은 건조가 잘 되지 않아 사용하기 전보다 균 수가 감소하지 않았다. 스펀지는 보관 방법과 상관없이 세균 수가 줄지 않았다. 연구팀은 “물로 헹구기, 비누로 씻기, 식기세척기에 넣기, 표백하기 등 다양한 세척 방법을 시도했지만, 세균 수를 크게 줄이지는 못했다”며 “제대로 건조됐을 때만 검출되는 세균 수가 적었는데, 설거지 솔이 스펀지보다 훨씬 빨리 건조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수세미, 주 단위로 교체하고 얇은 것 택해야
수세미는 주 단위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수세미에서는 소량의 세균이 빠르게 번식할 수 있다. 2022년 독일 푸르트방겐대학의 마르쿠스 에거트 교수 연구팀은 14개 가정에서 수거한 식기용 수세미의 미생물 서식 형태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수세미 1㎤에 존재하는 세균 세포의 수는 250억~540억개에 달했다. 대장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 헬리코박터 등 질병과 관련 있는 박테리아들이 주로 발견됐다. 연구팀에게 수세미를 기증했던 이들 중에는 수세미를 전자레인지에 넣거나 뜨거운 물에 정기적으로 살균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제때 살균소독을 한 수세미도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했을 때 세균이 현저히 적은 건 아니었다. 오히려 살균 소독하지 않은 수세미보다 질병과 관련 있는 세균이 많을 때도 있었다. 연구팀은 “살아남은 세균이 즉시 번식을 시작하며 살균 처리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제시한 해법은 ‘수세미를 주 단위로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것’이었다. 수세미를 구입할 때는 되도록 두께가 얇은 제품을 골라야 한다. 그래야 건조가 빨라 세균 번식이 상대적으로 잘 안 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