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중앙] ‘봄의 전령사’ 진달래꽃에 대해 잘 몰랐던 사실

김현정 2023. 3. 20. 0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며칠 쌀쌀한 듯하더니 어느새 봄기운이 가득합니다. 햇살도 좀 더 밝고 따듯해지고, 사람들의 옷차림도 가벼워지고 있죠. 산책하다 보면 키 작은 풀들은 나무 밑에서 나뭇잎이 돋기 전에 얼른 꽃을 피우고, 곤충들도 윙윙거리며 활동을 시작하고 있어요. 마치 한숨 푹 자고 이제 새롭게 시작하는 지구의 꿈틀거림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봄의 전령사로 불리는 식물들이 있어요. 개나리·진달래·산수유·회양목·히어리 등의 나무 꽃들인데요. 이번 호에서는 그중 진달래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 중에 진달래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거예요. 오래전부터 소나무와 함께 우리나라 숲을 대표하는 식물 중 하나죠. 연분홍의 얇은 꽃잎은 곱기도 곱지만 아직 잎이나 꽃을 내는 식물이 없는 이른 봄 숲에서 잎보다 먼저 피어난 꽃의 명도 높은 색으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어요.

우리 주변 식물들의 비밀 이야기

진달래의 학명은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입니다. 여기서 Rhododendron은 rhoden(장미)와 dendron(나무)의 합성어로 꽃이 장미꽃 같다는 뜻이고, mucronulatum은 날카롭다는 뜻인데 잎의 끝이 뾰족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영어로는 'Korean rosebay'인데 rosebay는 ‘협죽도’라는 식물이에요. 꽃과 잎의 느낌이 비슷해서 그렇게 이름 지은 것으로 보입니다. 'Korean rhododendron'이라고도 하죠.
우리말로 진달래의 어원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아요. 진달래를 ‘참꽃’이라 하고 철쭉을 ‘개꽃’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아마도 ‘진짜’라는 의미의 ‘진’인 것으로 보이는데 달래는 ‘달려있다’는 뜻인지, ‘다래’의 달래인지 정확히는 알 수 없죠. 한편 두견화(杜鵑花)라는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중국 촉나라 ‘망제’의 넋이 나라 잃은 설움에 두견새가 되어 밤새 피가 나도록 울더니 그 자리에 피어난 꽃이라서, 혹은 두견새가 울 때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에요.
진달래는 오랜 시간 동안 전국에 걸쳐 살고 있어서인지 예술작품부터 생활 속에도 자주 등장합니다.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라고 한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도 있고, 여기에 곡을 붙여 노래한 가요도 있죠. “봄이 오면 산에 들에 진달래 피고 진달래 피는 곳에 이 마음도 피어~”로 시작되는 가곡도 많이 불리고요. 음력 삼월 삼짇날(3월 3일)이 되면 진달래 꽃잎을 부쳐낸 화전을 먹기도 하죠. 또 진달래꽃으로 빚은 술 '두견주(진달래술)'도 즐겼습니다.

우리 주변 식물들의 비밀 이야기

흔히 철쭉과 헷갈리는데, 진달래는 잎보다 꽃이 먼저 피고, 철쭉은 꽃과 잎이 비슷하게 피거나 잎이 먼저 나온다고 합니다. 하지만 진달래 역시 꽃이 아직 있을 때 잎이 돋아나기도 해서 오랜 시간 한 장소를 관찰하지 않은 사람은 헷갈릴 수 있죠. 원래 피는 시기가 다른데, 진달래가 먼저 피고 질 무렵 철쭉이 피죠.

사실 진달래와 철쭉은 같은 진달랫과 식물이에요. 이 꽃들에는 특징이 있습니다. 꽃잎에 점을 찍은 듯한 무늬가 있는 거죠. 이것을 ‘허니가이드(honey guide)’, 혹은 ‘넥타가이드(nectar guide)'라고 합니다. 사람 눈에도 보이는 허니가이드는 꽃에서 꿀이 분비되는 부분이 다른 부위와 구별되는 빛깔이나 반점 따위를 띠어 특별하게 보이게 한 현상이에요. 자외선을 보는 곤충의 눈으로는 꽤 많은 꽃에서 이 무늬를 발견한다고 합니다.

우리 주변 식물들의 비밀 이야기

허니가이드는 꿀이 없는 줄 알고 그냥 지나쳐 가려는 나비와 벌에게 "가지마. 여기 꿀 있다"고 붙잡는 역할을 해요. 곤충이 꿀을 먹으려면 아무래도 암술이나 수술 위에 앉게 되고 이때 번식을 위한 꽃가루를 묻히는 것이죠. 참 좋은 생각이지 않나요. 움직이는 못하는 식물도 이렇게 지혜롭게 꽃가루받이 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니 대단합니다.
또한, 진달래 이파리를 비벼보면 레몬향 같은 향이 납니다. 오랜 시간 진달래를 관찰한 사람들도 그 사실을 모르는 분들이 많은데요. 생강나무 잎을 비비면 나는 향과 비슷한데, 자신을 방어하는 물질을 만들어내서 애벌레가 잎을 갉아먹지 못하게 막는 작전이죠.
이 세상 모든 생명들이 저마다 삶의 목표를 가지고 스스로를 디자인하고 있음을 나 자신에게도 적용해 보세요. 그러면서 '나는 어떤 것을 위해 디자인된 삶을 살고 있는지'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외부 필진 칼럼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글·그림=황경택 작가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