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실이 점점 좁아지는 생활, 이렇게 청산했습니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최혜선 기자]
주말엔 언제나 바쁘다. 책도 읽어야 하고 글도 써야 하고 걷기도 해야 하고 바느질도 해야 하니까. 중간중간 삼시세끼 해 먹어야 하는 건 말할 필요도 없다. 그날도 바느질을 먼저 해야 하나 주말에 할 독서모임 책을 먼저 읽어야 하나 갈팡질팡하고 있는데 남편이 말을 걸었다.
"오늘 뭐 할 거야?"
"바느질하고 책도 읽고 걷기도 할 건데?"
"오늘은 나랑 창고 정리 좀 하면 안 돼?"
그렇게 시작되었다. 2023년 봄맞이 집 정리.
처음부터 깔끔한 집은 아니었다
2021년 11월에 이사 올 때 한 번 물건들을 욱여넣은 후 한 번도 다시 들여다보지 않은 창고 속 물건들을 모두 꺼냈다. 이제 중학생이 되어버린 아이들이 초등학생 때 쓰던 탬버린과 소고 같은 학용품도 싹 버렸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낸 공간에는 한 번 꺼낸 후 다시 들어가지 못하고 침대 발치에, 앞 베란다에 방치되어 있던 캐리어를 넣었다.
먼지를 떨 때 위에서 아래로 하는 것처럼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들을 정리할 때는 창고부터 정리해서 공간을 만들고 자주 쓰지 않는 물건을 창고에 넣어서 자주 쓰는 공간에 두는 물건의 수를 줄이는 것이 좋다.
▲ 봄맞이 집정리. |
ⓒ 최혜선 |
우리가 처음부터 집을 깔끔하게 유지한 건 아니었다. 아이는 어리고 집은 좁았던 시절에 거실을 서재로 꾸미겠다고 한쪽 벽면을 책장으로 채워서 가뜩이나 좁은 거실을 더 좁게 만들었다.
▲ 철없던 시절. |
ⓒ 최혜선 |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할 때 폭이 2미터도 안 되는 좁은 거실에 깊이가 1미터쯤 되는 커다란 높이 조절용 책상을 사줬다. 책상이 놓일 공간은 생각하지 않은 채, '남들 다 사준다는 저 비싼 책상, 나만 못 사줄 쏘냐'라는 치기 어린 보상심리에 들인 것이었다.
물건이 집에 들어온 순간 깨달았다. '책상을 살 돈이 있는가가 문제가 아니구나. 저 책상은 아이만의 큰 방이 있는 집에 들어가야 하는 물건이구나.'
'한 달 살기' 이후 내게 일어난 변화
남들 좋다는 걸 따라 하던 시기였다. 그러다 어느 해에는 제주도에서 한 달 살기를 했다. 그게 그렇게 좋다고들 하니 아이가 더 크기 전에 해주자 싶었던 거다. 이번 따라 하기는 그 후 나에게 큰 변화를 가져왔다.
▲ 제주 한달살기 집. |
ⓒ 최혜선 |
인테리어 공사 동의서를 받으려고 돌아다니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다른 집이 사는 모습을 보게 되었는데, 남편이 방 하나 더 있어도 물건이 많으면 아무 소용 없더라는 무서운 얘기를 해줬다.
정신이 확 들어서 몇 가지 원칙을 세웠다. 첫 번째는 집에서 쓸 컬러를 제한하는 것이었다. 기본은 흰색으로 하되, 가구는 옅은 우드로, 중문이나 폴딩도어의 프레임은 검은색만 쓰기로 했다. 그렇게 하니 남들은 몇 시간씩 걸린다는 인테리어 세부 항목을 고를 때도 범위가 제한되어 선택하기가 쉬워졌고 시각적 피로도가 줄었다.
둘째로 집의 공용 공간에 두는 물건의 수를 제한하기로 했다. 그 당시 우리의 모토는 '짐 앞에 장사 없다'였다. 으리으리 번쩍한 인테리어 디자인도 구질구질한 짐이 많으면 의미가 없다는 깨달음을 담은 구호였다. 부부가 서로 '이것 좀 버리지? 그런 건 사지 말지?' 견제하면서 많이 버리고 그걸 유지했다.
그렇게 거실에는 소파와 작은 책장 하나만 남겼다. TV는 없다(필요에 따라 이 방 저 방으로 자리를 옮길 수 있는 모니터는 있다). 어차피 가족 구성원 모두가 모여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뭔가를 보는 일은 드물다. 각자의 기기로 자기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즐기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물건의 수를 제한해야 하니 하나가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으면 싶었다. 부엌 공간이 작고 식탁은 집에 들어오면 바로 눈에 띄는 곳에 놓아야 하니 식탁 의자는 등이 없는 것으로 사서 쓰지 않을 때는 식탁 밑에 집어넣었다.
스툴형 의자는 때로 침대 옆에 차를 놓는 미니 탁자로도 쓰고 창가에 앉아 책을 볼 때 커피 한 잔을 올려놓을 보조 테이블이 되기도 한다. 식탁의자가 하루 24시간 그 용도로 사용되지는 않으니까 말이다.
셋째로 집에 뭔가를 들이려면 하나를 버리는 것을 원칙으로 세웠다. 그래서 지금은 공간을 차지하는 물건을 집에 들일 때는 돈도 돈이지만 다른 것을 비워서 그것을 놓을 공간을 먼저 만든 다음에 물건을 산다. 책도, 아이들 장난감도 마찬가지였다. 하나를 사면 하나를 버리는 것을 원칙으로 정했고, 물건을 둘 범위를 정하고 그걸 넘어가는 물건은 우선순위를 정해 처분했다.
이렇게 원칙을 정하고 부부가 합의하니 매일매일 품을 많이 들이지 않아도 집은 일정 수준으로 유지가 되었다.
공용 공간은 그렇다 치고 아이들 각자의 방은? 눈을 감는다. 문을 닫는다. 가끔 에너지가 찰랑찰랑 넘칠 정도로 올라올 때 마음을 굳게 먹고 들어가 내보낼 만한 물건들을 물색해뒀다가 아이에게 물어보고 싹 치워낸다. 참고로 이번 주말에는 75리터 쓰레기봉투를 두 개 내보냈다.
후련해진 마음으로 곧 우리집 베란다 앞에 필 벚꽃을 기다려야겠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제 블로그나 브런치에 게재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16 외교참사' 그 후... 일본 대공세가 예상된다
- "루프탑에서 영화 상영, 지하에선 춤" MZ세대도 열광
- 도봉구에 세워진 진짜 베를린 장벽 조각... 나는 부끄러웠다
- 말이 안 나오네... 운전의 피로 싹 날려주는 곳
- 외로워서 시작했는데 6권 출간...제주가 궁금한 '할아버지 학생'
- 이곳의 괘종시계가 오전 9시 30분에 멈춘 이유
- '미니멀라이프' 도전하실 분? 순식간에 22명이 모였다
- 연일 자화자찬하는 여권 "윤 대통령, 일본인 마음 여는데 성공"
- 미 공군 B-1B 전략폭격기 한반도 전개... 한미 연합공중훈련 실시
- 박용진 만난 문 전 대통령 "민주당, 달라지고 결단하면 신뢰 얻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