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정상회담]대통령실 "독도·위안부 논의 안 해…후쿠시마 문제 안전 확인돼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통령실은 19일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16일 일본 방문 계기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측 간 독도나 위안부 합의에 대해 "논의는 없었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한일 정상회담 이후 일본 언론이 기시다 총리가 위안부 문제 해결과 독도 영유권에 대한 일본의 입장을 전했다고 보도하면서 논란이 확산되자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귀국일인 지난 17일 언론 공지에서 "16일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든, 독도 문제든 논의된 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후쿠시마 문제, 과학적 안전 확인 안되면 위험
대통령실은 19일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16일 일본 방문 계기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측 간 독도나 위안부 합의에 대해 "논의는 없었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해서 과학적으로 안전이 확인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기시다 총리가 윤 대통령에게 위안부 합의, 독도 영유권 등에 대한 입장을 전했다는 일본 언론 보도와 관련해 "앞의 두 개(위안부, 독도)는 논의한 적이 없다고 명확하게 이야기한 바 있다"고 밝혔다.
한일 정상회담 이후 일본 언론이 기시다 총리가 위안부 문제 해결과 독도 영유권에 대한 일본의 입장을 전했다고 보도하면서 논란이 확산되자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귀국일인 지난 17일 언론 공지에서 "16일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든, 독도 문제든 논의된 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YTN과의 인터뷰에서 "정상회담에서 오고 간 정상들의 대화는 다 공개할 수가 없다"면서도 "2015년도 한일 위안부 합의의 당사자 중 한 사람이 당시 외무상이었던 기시다 총리"라며 "통절한 반성과 사과를 그대로 낭독했고, 정확히 3년 뒤에 우리나라가 화해치유재단을 해체해 버렸다"고 당시 합의가 유효하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김 차장은 독도와 관련해서도 "핫이슈가 될 수 없다. 현재 우리가 점유하고 있는 우리 땅"이라며 "최근에 제가 기억하기로는 일본 당국자가 우리에게 이 독도 얘기를 한 기억이 없다"고 답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에 관한 논의도 있었다는 보도에 관해서는 "회담에서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공개하는 건 적절치 않다"며 언급을 삼갔다.
다만 이 관계자는 "정부 원칙은 있다"며 "과학적 측면이 있고, 국민 정서적 측면이 있는데 과학적으로 안전하다고 확인되지 않으면 위험한 요소가 있는데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겠나"라고 강조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러다 굶어 죽는다, 도와달라"...한국 모욕하고 다니던 유튜버 근황 - 아시아경제
- "미장보다도 훨씬 낫네"… 작년부터 72% 급등, 천장 안보이는 '금값' - 아시아경제
- 부진한 실적에 직원들 급여 25억 깎고선…'수십억 연봉' 챙긴 강성희 회장[기로의상장사]오텍② -
- "마통으로 버텼는데…부고 문자 눌렀다가 5000만원 털렸어요" - 아시아경제
- 30년 절대강자 냉동만두 제쳤다…싼데 골라먹는 재미, 편의점 1등 찍은 '이 간편식' - 아시아경제
- 식당서 현금 426만원 든 가방 도둑맞은 여성의 정체…알고 보니 美 국토안보부 장관 - 아시아경제
- '서른에 2조원 벌었다'…테일러 스위프트 제친 최연소 억만장자女 - 아시아경제
- 강남서 테슬라 트럭·BMW에 발길질…잡고 보니 중국 관광객 - 아시아경제
- 훈육한다며 11세 아들 때려 숨지게 한 40대…징역 10년 구형 - 아시아경제
- 가장 비밀스럽고 외로운 소년…푸틴 '10세 아들' 추정 사진 공개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