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선, 우리가 아는 모습과 달랐다

김봉수 2023. 3. 19. 14: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거북선은 임진왜란 당시 우리 민족의 수호신 역할을 했지만 그림이나 설계도를 찾지 못해 진짜 모습을 아는 사람은 없었다.

그런데 국내 한 과학자가 고문서 연구를 통해 18세기 거북선의 모습을 재현해냈다.

논문의 제목은 '18세기 거북선 설계도,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龜船圖說)의 통제영거북선 구조와 규모, 외형, 함포배치에 대한 연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문헌 고증해 18세기 거북선 모습 재현
덮개는 가운데 부분만, 3층에도 대포

거북선은 임진왜란 당시 우리 민족의 수호신 역할을 했지만 그림이나 설계도를 찾지 못해 진짜 모습을 아는 사람은 없었다. 그런데 국내 한 과학자가 고문서 연구를 통해 18세기 거북선의 모습을 재현해냈다. 문헌상 이순신 장군이 16세기 말 실제 임진왜란 때 왜군들과 맞서 싸울 때 만들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돼 더 관심을 끌고 있다.

채연석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장은 1795년 왕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의 '귀선도설'이 실제 거북선의 건조에 제작 설계 자료로 사용됐다는 사실을 확인해 이를 토대로 228년 만에 컴퓨터 그래픽으로 18세기 거북선의 모습을 구현해냈다고 19일 밝혔다.

채 위원장은 '비변사등록'에 실려있던 신대현(1793~1794년 삼도수군통제사)의 상소문에서 결정적 힌트를 얻었다. 신대현은 순조 9년인 1809년 4월 임금에게 "거북선이 마음대로 만들어져 엉터리가 되고 있다"면서 "(거북선의) 도식이 충무전서에 상세히 실려 있어서 한번 보기만 하면 알 수 있다"고 호소했다.

이에 채 위원장은 정조가 신하들에게 명해 만들어진 이충무공전서에 실려 있는 귀선도설이 실제 거북선 제작에 사용됐다고 판단했다. 그는 "이충무공전서의 '귀선도설'은 1809년 이후 실제로 거북선을 건조할 때 기본 설계자료로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귀선도설'이 거북선 건조에 실제 사용한 설계자료라는 것은 이 자료의 내용대로 만들면 1795년 통제영 거북선을 복원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귀선도설에는 1795년 당시 통제영 거북선과 전라좌수영 거북선 등 두 종류가 설명돼 있다. 이 중 규격과 구조가 자세히 드러나 있는 통제영 거북선에 대한 내용을 참고해 컴퓨터 그래픽으로 복원했다.

이 거북선의 가장 큰 특징은 개판(지붕)이 전체를 둥글게 씌운 형태가 아니고 3층 갑판의 중앙 부분에만 판자를 세우고 지붕을 올린 것이다. 또 거북선 3층 개판 좌우에 함포를 배치해서 사용했는지 아니면 조총이나 활 정도만 사용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많았는데, 연구진은 함포 설치 사용의 근거를 찾아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문서 '통제영 해유문서(1894년)'에 2층과 3층 좌우 및 전후에 함포를 배치했다는 내용을 확인한 것이다. 또 1795년 통제영 거북선 상장의 규격을 찾았다. 길이 85척(26.6m), 폭 32척(10m)이었다. 기존에 알려진 거북선보다 상장의 폭이 넓은 것이 특징이다.

또 거북선에는 장교 6인, 사부 19명, 화포장 10명, 포수 24명, 타공 4명, 격군 120명 등 182명이 탑승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수군이 한 달 동안 사용할 군량미 52석, 찐쌀 6석, 미숫가루 3석 등 모두 61석의 군량미를 1층 창고에 실었다. 2층 중앙에는 수군들의 휴식 공간이 배치됐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발행된 '충무공 이순신과 한국해양' 제9호(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에 실렸다. 논문의 제목은 '18세기 거북선 설계도, 이충무공전서 귀선도설(龜船圖說)의 통제영거북선 구조와 규모, 외형, 함포배치에 대한 연구'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