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독소조항 없었다…“CRMA 韓에 기회”

이근형 기자 2023. 3. 17. 19: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 기자]
<앵커> 유럽판IRA법으로 불리는 CRMA 초안에 자원 현지조달이나 현지조립 요건 같은 독소조항들이 빠지면서, 우리 기업들에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중국에 대한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는 과정에서, 비용이 늘어난다는 게 걱정입니다.   이근형 기자입니다.   <기자> '유럽 내 최종조립 요건' 같이 우려됐던 조항은 전혀 없었습니다.   어제(16일) 공개된 유럽 CRMA 초안은 미국 IRA법안처럼 위협적이지는 않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오히려 EU집행위원회가 중국을 견제하면서 사실상 우리나라에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될 것이란 분석입니다.   [ 조성훈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EU 집행위원장이 스피치에서) Like-minded partner(뜻을 같이 하는 동맹국)라고 했잖아요. 거기에 한국이 완전 직접 포함이거든요. 전략적 협정 상대로 한국이 오히려 더 EU의 중요한 키파트너로 올라서지 않을까 이렇게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   이번 초안에서 EU는 특정 국가의 핵심 원자재 수입 의존도를 전체 소비량의 65% 미만으로 설정했습니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도 2차전지 핵심 소재나 전기차 모터 영구자석 네오디뮴 같이 중국에서 대부분 조달하는 원자재들의 새로운 공급처를 찾아야 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대신 반드시 유럽 역내에서 조달해야 한다는 조항은 없는 만큼, 남미나 호주 같은 FTA 체결국에서 대체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우려가 아예 없는 건 아닙니다. 무엇보다 공급망을 새로 찾는 과정에서 비용이 늘어난다는 점이 고민입니다.   [ 송영관 / KDI 선임연구위원 : 중국은 자체 싼 걸 쓸 수 있고 우린 그걸 못쓰는 상황이 될 수 있으니까요. 중국보다 가격경쟁력에서 열위에 놓이게 되고… ] 이에 따라 한국은 프리미엄, 중국은 저가 제품으로 2차전지 시장 구도가 갈수록 양분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정부는 이번 초안에 역외 기업에 대한 차별적인 조항이 포함되지 않았다고 호평하고, 업계에 미칠 위기와 기회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오는 20일 기업 관계자들과 논의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 영상편집: 김민영, CG: 심유민

 

 
이근형 기자 lgh04@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