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람차 들어서는 월드컵공원, 전망대·공중길도 생긴다

김현경 2023. 3. 17. 10: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관람차 '서울링'이 들어서는 서울 마포구 월드컵공원에 한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공간이 생긴다.

시는 우선 월드컵공원 내 하늘공원과 노을공원에 서울링과 별도로 한강변 노을을 볼 수 있는 타워나 다리 형태의 전망 공간을 만들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

대관람차 '서울링'이 들어서는 서울 마포구 월드컵공원에 한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공간이 생긴다. 인근 월드컵경기장 등을 잇는 공중 보행로와 곤돌라를 만드는 방안도 추진된다.

유럽 출장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은 1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을 대표하는 명소 하이드 파크 일대를 둘러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서울공원 명소화' 구상을 밝혔다. 서울공원 명소화는 지역 여건과 특색을 살려 공원을 시민을 위한 문화·체험·휴식 공간으로 재조성하는 사업이다.

시는 월드컵공원을 시작으로 시가 직영하는 24개 공원 명소화 사업을 2026년까지 추진한다. 향후 자치구가 관리하는 공원 81곳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첫 타자인 월드컵공원은 하이드 파크와 같은 시민 휴식공간이자 관광 명소로 만드는 게 목표다.

영국 왕립공원 중 하나인 하이드 파크는 영국 왕실 소유의 사냥터였으나 1637년 시민 공원으로 재탄생했다. 켄싱턴 가든(110만㎡)을 포함해 면적이 250만㎡에 달한다. 공원 안에 켄싱턴궁과 다이애나비 추모 분수 등이 있고 수영·승마·보트 등도 즐길 수 있어 런던의 대표 명소로 꼽힌다.

월드컵공원 역시 면적이 230만㎡에 달하고 내부에 하늘공원, 노을공원 등 5개 테마 공원과 가족캠핑장이 있다. 주변에는 한강, 문화비축기지, 월드컵경기장 등이 있어 서울 명소로 발돋움할 잠재력을 갖췄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시는 우선 월드컵공원 내 하늘공원과 노을공원에 서울링과 별도로 한강변 노을을 볼 수 있는 타워나 다리 형태의 전망 공간을 만들 계획이다.

노을공원에는 기존 가족캠핑장과 연계해 반려견캠핑장과 반려견놀이터를 조성한다.

18홀 규모의 파크골프장도 추가로 만든다. 노을공원에는 2010년부터 파크골프장이 운영 중이나 시는 노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 추가로 골프장을 만들기로 했다. 32억원을 들여 2024년까지 완성하는 게 목표다.

아울러 기존 조각품 외에 세계적 조각가의 작품을 노을공원에 추가로 전시해 조각공원 기능을 강화한다. 하늘공원에는 미로 정원을 만들고, 서울둘레길과 이어진 공원 내 메타세쿼이아 길에는 꽃과 나무 등을 심어 '테마숲길'을 조성한다. 난지천공원에는 산책로와 체육시설을 만든다.

문화비축기지는 기존 건축물(탱크)을 활용한 미디어아트파크로 변신한다. 이를 위해 놀이·예술·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탱크 외부 공간의 공원 기능을 강화한다.

시는 올해 문화비축기지 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해 2026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는 시민이 더욱 편리하게 공원을 이용하도록 ▲ 문화비축기지와 월드컵경기장 등을 잇는 공중 보행로 ▲ 한강과 연결되는 덮개공원(도로나 철로를 구조물로 덮고 그 위에 만드는 공원) ▲ 월드컵경기장과 하늘·노을공원을 오가는 곤돌라를 만드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월드컵공원 명소화 사업에는 곤돌라와 미디어아트파크를 제외하고 총 717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했다.

곤돌라 후보지로는 상암동 외에 성수·잠실·뚝섬 등이 있는데 시는 입지와 수요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사진=서울시)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