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尹 지원사격 韓 기업들…가속페달은 정부 몫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6~17일 이틀간 일본을 방문해 한일 관계 정상화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 뒤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등 국내 5대 그룹 총수가 있다.
재계 총수들은 12년만에 복원된 한일 간 셔틀외교(상대국을 오가며 정상회담을 하는 것)의 전면에서 윤 대통령을 도와 한일 경제협력 활성화 추진체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6~17일 이틀간 일본을 방문해 한일 관계 정상화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 뒤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등 국내 5대 그룹 총수가 있다. 재계 총수들은 12년만에 복원된 한일 간 셔틀외교(상대국을 오가며 정상회담을 하는 것)의 전면에서 윤 대통령을 도와 한일 경제협력 활성화 추진체 역할을 하고 있다.
앞서 발표된 정부의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도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가 뼈대 역할을 한다.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000억원) 등 6대 첨단산업분야에 투자되는 550조원은 민간 투자가 핵심이다. 예컨대 2042년까지 경기도 용인에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만들겠다는 정부 계획에는 삼성전자의 300조원 투자가 뒷받침된다.
LG는 인공지능(AI), 바이오, 클린테크 등 미래 성장동력 분야 육성을 위해 향후 5년간 54조원을 투자하기로 했고, 현대차그룹도 2025년까지 국내 시장에 63조원 이상을 투입해 국가첨단산업 육성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이와 같은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 약속은 글로벌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이뤄졌다.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와 소비활력 감소로 반도체를 비롯한 국내 주요 수출 산업에 '빨간불'이 켜지고 기업 실적이 급속도로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미래 불확실성에 대비해 지금 당장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도 되지만 첨단산업 육성이 국가안보로 직결된다는 정부의 인식에 공감하고 미래 먹거리에 투자해야 한다는 신념에 따라 힘을 보태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산업 분야에서 경쟁국의 보조금·세액공제 지원 속도를 못따라간 우리 정부는 이번 첨단산업 육성전략을 계기로 전환점 앞에 섰다. 이제 대규모 민간 투자가 결실을 맺기 위해 중간에 사업 지체를 야기할 수 있는 장애요소를 치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민간 투자 실행 속도를 높이는 건 정부의 몫이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장암 피하려면 먹지마"…술·담배와 동급이라는 '이것' - 아시아경제
- "와! 한국 진짜 망했군요"…외신도 경악한 '7세 고시' 결국 - 아시아경제
- 부모 잃고 노숙자 생활하던 청년, 밀크티 팔아 30대에 '3조 부자' 됐다 - 아시아경제
- "우리는 폭싹 망했수다…1만 관객 영화가 박스오피스 2위라니" - 아시아경제
- 한국 최초 '1억 유튜버' 나왔다…1일 예상 수익이 무려 6억 - 아시아경제
- "제일 좋아하는 과자인데"…블핑 제니 한 마디에 '월클' 된 이 과자 - 아시아경제
- "고객들이 파도처럼 밀려온다"…'재산 대탈출' 시키는 美 부자들에 신난 스위스 - 아시아경제
- "남는 게 있나요?"…김밥 4000원 시대에 등장한 '1900원' 김밥[먹어보니] - 아시아경제
- "집에 간 尹 부부에 꽃다발 준 주민, 안보실 1차장 모친이었다" - 아시아경제
- "비판 수용하겠다"…충암고동문회, '충암의 윤석열' 글 논란에 입장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