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한 생리통, 진통제도 소용 없다면 ‘이 질환’ 의심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평소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생리통이 심하고, 진통제를 복용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자궁내막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자궁내막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극심한 생리통 ▲지속적인 골반통 ▲성관계 시 통증 ▲월경 직전이나 월경 중 배변통 등이 있다.
증상이 경미하고 크기가 크지 않은 자궁내막증이라면 자궁 내 장치를 삽입하거나 호르몬제와 진통제를 적절히 병용해 경과를 지켜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이 아닌 나팔관, 복막 등에 생기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생리혈은 질을 통해 배출되지만, 일부는 난관을 통해 역류해 복강 내로 들어가는데, 이때 복강 내에서 생리혈이 제거되지 못하고 난소나 기타 복강 내 여러 장소에 병변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 자궁내막증이다. 염증반응이 생기면서 난소와 주변 장기가 붙어버릴 위험도 있다. 이런 골반 내 유착은 나팔관의 원활한 운동을 방해하고, 수정 후 배아가 자궁 내로 유입되는 과정을 방해해 임신을 어렵게 한다.
자궁내막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극심한 생리통 ▲지속적인 골반통 ▲성관계 시 통증 ▲월경 직전이나 월경 중 배변통 등이 있다. 자궁내막증은 골반 외에도 다양한 부위에 발생할 수 있다. 소화기계에 발생할 땐 설사, 변비, 항문 출혈, 복통이, 흉부에 발생할 땐 기흉, 혈흉이, 비뇨기계통에 발생할 땐 배뇨통, 빈뇨, 하복부 압박감, 요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는 증상 정도, 진단 연령 등을 고려해 진행한다. 증상이 경미하고 크기가 크지 않은 자궁내막증이라면 자궁 내 장치를 삽입하거나 호르몬제와 진통제를 적절히 병용해 경과를 지켜본다. 그러나 자궁내막종의 크기가 크거나, 호전되지 않는 골반통 등이 있는 경우 자궁내막증을 제거하는 수술을 진행하기도 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신 때 사라진 생리통, 스멀스멀 다시 생기면 의심해야 할 질환
- 생리통 완화에 효과적인 식품 3가지
- 생리통약, 먹으면 효과적인 시기 따로 있다?
- "병원 찾는 생리통 환자, 15~24세가 절반 차지"
- '이 음식' 많이 먹으면, 생리통 악화될 수 있어
- 욱신욱신 생리통… '이것'만 많이 마셔도 완화
- 보습제로 해결 안 되는 발 각질… 냄새·가려움 전혀 없는데, 무좀?
- 혀가 갑자기 따끔따끔… 혓바늘 아니라 ‘이 질환’ 때문일 수도
- 정력 강화에 다이어트 효과까지… 천연 영양제 ‘이것’ 드세요
- 안 좋은 하루 보냈나요? 곧장 ‘침대’로 뛰어드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