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반도체처럼… 조선 무역의 아이콘이었던 인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삼을 통해 보는 한국사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최대의 수출품이었고, 개항기 조선 무역의 아이콘이었다.
인삼은 조선과 대한제국에서 가장 중요한 재정 수입원 중 하나였고, 외국에 팔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물품이었다.
책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개항기, 식민지 시기를 거쳐 현대까지 이어지는 인삼의 역사를 개괄하면서도 특히 인삼의 무역사를 집중적으로 기술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철성 지음
푸른역사, 420쪽, 2만2000원
인삼을 통해 보는 한국사라고 할 수 있다. 인삼은 단순히 약재나 건강식품이 아니었다. 조선 최대의 수출품이었고, 개항기 조선 무역의 아이콘이었다. 인삼은 조선과 대한제국에서 가장 중요한 재정 수입원 중 하나였고, 외국에 팔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물품이었다.
책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개항기, 식민지 시기를 거쳐 현대까지 이어지는 인삼의 역사를 개괄하면서도 특히 인삼의 무역사를 집중적으로 기술한다. 홍삼은 1792년(정조 21년)부터 조선의 공식 무역상품이 되었다. 19세기 조선의 대외무역은 ‘홍삼-서양목(광목) 교환체계’라고 할 정도로 홍삼의 비중이 절대적이었다.
1860년대 홍삼 무역으로 거둔 정부 세입은 얼마나 되었을까. 홍삼 무역 규모는 2만근 수준으로 1근당 세액(포삼세)은 6∼14냥, 전체 세입 규모는 20여만냥을 오르내렸다. 당시 호조가 비축하고 있는 동전량이 19만냥 내외였다.
개항 이후에도 홍삼은 조선 정부가 은화를 확보할 수 있는 특별한 무역상품이었으며, 대한제국 황실 재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도 홍삼 전매 수입이었다. 황실 수입 중 홍삼 전매 수입은 1902년 330만냥을 넘어 지대 수입에 비해 약 1.7배나 더 많았다.
홍삼은 정조가 화성을 일으키는 재원이었고 고종이 군비 증강, 전기 철도 신설 등 개혁 조치를 추진하는 동력이 되었다. 1948년 출범한 이승만 정부에서도 홍삼은 외화를 획득할 수 있는 드문 수단이었다.
개성의 인삼 자본가들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다. 1930년대 개성에서는 인삼으로 자본을 축적한 기업가들이 대거 등장했고 이들이 참여와 후원 아래 언론, 연극, 문학, 문화재, 소년 등 사회문화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됐다.
책을 읽고나면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이미지 하나를 갖게 된다. 조선은 인삼의 나라였다.
김남중 선임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산대 입학취소’ 조민 법정 등장…묵묵부답 [포착]
- 유아인 담당 의사도 딱 걸렸다… ‘셀프 프로포폴’ 현장서 체포
- “주인님…” 일본식 ‘메이드 카페’, 우려 속 오픈
- 전두환 손자 지목 마약·성범죄 장교…軍 “사실확인한다”
- 尹 일본 가는 날, 北 동해상에 탄도미사일 발사
- JMS 성 피해자에 “정명석 옆 붙어있어”…정조은 녹취
-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끌려온 노예의 아들이었다”
- 여고 앞 ‘바바리맨’…잡고 보니 20대, 범행 인정
- ‘룸카페’ 벽면·출입문 투명창 해야…아니면 청소년불가
- “XX 놀러가야 되는데” 쇼호스트 정윤정, 생방 중 욕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