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에 독도 모양 흰쌀밥… 일본 '다케시마 카레' 판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에서 '다케시마의 날'을 맞아 '다케시마 해양 카레'가 출시되고 강치를 이용한 '다케시마'를 홍보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케시마는 일본이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이다.
현재 일본은 다케시마의 날 행사가 열리는 시마네현에서 다양한 독도 관련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한 음식점에서는 독도 모양으로 조리된 밥에 일장기를 꽂아 '다케시마 카레'를 만들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치' 잔인하게 포획해 놓고…홍보용으로 사용
일본에서 '다케시마의 날'을 맞아 '다케시마 해양 카레'가 출시되고 강치를 이용한 '다케시마'를 홍보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케시마는 일본이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이다.
현재 일본은 다케시마의 날 행사가 열리는 시마네현에서 다양한 독도 관련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한 음식점에서는 독도 모양으로 조리된 밥에 일장기를 꽂아 '다케시마 카레'를 만들었다. 인근 오키 제도 바다에서 난 오징어 등 해산물을 넣은 카레 위에 3D 프린터를 사용해 독도 모양으로 뭉친 밥을 얹고 일장기를 꽂았다.
21일 산인츄오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시마네현청에 있는 지하 식당은 다케시마 해양 카레를 만들어 20일과 21일 점심으로 제공했다. 현 총무와 다케시마 대책실 이와사키 야시스 실장은 "오키의 지역 식자재를 사용한 카레로 다케시마가 화제에 오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마네현은 지난 2021년에도 독도 관련한 특산품을 개발한 지역 업체에 경비의 절반(상한 20만엔)을 보조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독도에 서식했던 '강치'를 이용해 동화책과 인형을 제작해 판매하고 있다. 한국 어민은 물개류와 바다사자잡이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강치는 울릉도와 독도에 서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19세기 초 일본인들이 가죽과 기름을 위해 대량으로 포획했고 결국 멸종됐다. 이에 "강치는 일본인들이 멸종시켰으면서 강치를 이용해 다케시마를 홍보하는 것은 모순이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편 일본은 1905년 2월 22일 일본 내각 결의에 따라 독도를 '다케시마'라 이름을 붙이고 시마네현에 편입했다. 그리고 2월 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지정했다.
문화영 인턴기자 ud3660@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다이소 1000원 짜리를 162만원에?"…발렌시아가 새 팔찌 또 논란 - 아시아경제
- 잠들기 전 '나 지금 얼마있지?' 은행 잔고 확인…10명 중 7명은 밤새 돈 걱정 [세계는Z금] - 아시아
- "개모차 타고 공원 산책갈래?"…금쪽같은 '댕냥이' 위해 조용히 이사가는 부자들[부동산AtoZ] - 아
- 40년 전 67억 들여 세웠다…"1억짜리 나무" 소문났던 '권력의 정원' 지금은[디깅트래블] - 아시아경
- "한국축구 수준 떨어지잖아" 망언…아동 음란물 비행기서 보다가 발각 '국제 망신' - 아시아경제
- 이준석 SNS에 '좋아요' 눌렀다가 곤혹…한소희 "실수" 해명 - 아시아경제
- '화짱조' 뭐길래…이준석 "친가·외가 모두 전혀 없어" - 아시아경제
- 결혼 앞둔 딸 약혼자 불륜 알게 된 '아빠의 결단'…"총알 피하고 인생 승리" 응원 봇물 - 아시아경
- "주말에 왕복 1200㎞ 다녀왔다"…여행처럼 경제 파급 효과 쏠쏠한 中MZ 취미 - 아시아경제
- 껍데기만 한국차 될라…韓, 미래차 배터리 핵심 소재 '90%가 중국산'[미래 소부장 의존] - 아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