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시대"…G마켓, 대용량 제품 매출 3배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물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대용량으로 구매 후 두고두고 쓰는 이른바 '쟁여두기'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
G마켓이 올해 1월부터 이달 19일까지 관련 상품군 거래액을 지난해 동기간과 비교 분석한 결과, 대용량 제품은 전체 12%, 1+1 제품은 16% 각각 신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G마켓이 올해 1월부터 이달 19일까지 관련 상품군 거래액을 지난해 동기간과 비교 분석한 결과, 대용량 제품은 전체 12%, 1+1 제품은 16% 각각 신장했다. 대용량 제품은 주로 마트상품군이, 1+1 제품은 의류, 음료, 화장품이 인기를 끌었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구입이 전년 동기 대비 21% 늘며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어 30대(13%), 40대(8%), 50대(11%), 60대 이상(16%) 등 다른 연령층에서도 알뜰 소비가 늘었다.
대용량 제품의 경우, 장시간 보관이 용이한 가공식품이 63% 늘었다. 그 중 냉동식품이 3배 이상(228%) 큰 폭으로 증가했고, 라면 거래액도 2배 이상(161%) 올랐다. △식용유·오일(91%) △과자(39%) 등도 많이 찾았다. 신선식품 중에는 대용량 쌀이 41%, 김치도 3배 이상(227%) 증가했다.
마트상품군도 대용량이 인기다. △생수·탄산수(126%) △우유·두유(125%) △탄산·청량음료(51%) 등 커피·음료군을 많이 찾았다.
1+1 제품의 경우 남녀 의류 상품이 전체 11% 올랐고, 반팔티셔츠(75%), 긴팔티셔츠(67%)가 인기를 끌었다. 유아동의류 역시 1+1 제품이 61% 증가했다. 이 외 가공식품(76%), 커피/음료(129%) 등 식품군을 비롯해 화장품(11%), 바디케어(45%) 제품군도 1+1을 많이 구매했다.
G마켓 관계자는 “고물가와 경기 불황이 지속되면서 ‘쟁여두기’ 소비가 생존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실제 식품, 생필품, 의류, 반려동물용품 등 대부분의 제품군에 걸쳐 대용량, 1+1 제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 쿠키뉴스(www.kuki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사랑해요” 외친 주윤발… 첫발 뗀 부국제 [2023 BIFF]
- ‘핀테크가 바꾸는 삶’ 서울 핀테크 위크 현장은 [가봤더니]
- “개막작 ‘한국이 싫어서’, 젊은 세대 공감 원했죠” [2023 BIFF]
- 군인 마약범죄 3년새 250% 급증… 건강 및 대형사고 우려
- 정치인 ‘김종인’ 사칭 불법 투자광고 등장에 ‘주의보’ 격상
- 日 도쿄전력, 내일 오전 오염수 2차 방류 개시
- 노벨 화학상 수상자 명단, 발표 3시간 전 실수로 유출
- 유명인 사칭 광고에 대통령까지 등장
- 가자, 영화의 바다로! 올해 볼거리 3 [2023 BIFF]
- ‘사법 공백’ 책임 부담됐나…野 “이균용 부결 당론, 6일 재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