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싱크탱크 경고…"韓 집값, 최악의 상황 끝나지 않았을수도"

정현진 2023. 2. 14. 08: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성장 둔화, 가계부채 심각"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영국의 싱크탱크인 옥스포드이코노믹스가 한국의 주택시장 거품이 더 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기 성장세 둔화와 높은 가계부채 비율 등으로 인해 한국의 주택 시장이 아직 최악의 상황을 마무리 짓지 않았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집값 하락이 추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으로 풀이된다.

옥스포드이코노믹스는 13일 보고서를 통해 "경제 성장세 둔화와 높은 레버리지(가계부채)로 인해 '한국 시장은 아직 최악의 상황이 아직 끝나지 않았을 수 있다(The worst may not be over yet for the South Korean market)'"면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압박은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옥스포드이코노믹스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집값은 지난해 안정적이거나 상승했으며 비록 속도는 더뎌도 향후 수년간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면서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예외 국가로 호주, 한국, 중국을 꼽았다. 특히 한국과 대만을 함께 언급하며 "주택 시장이 취약해보인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아태 지역 국가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도 채 되지 않지만 한국과 홍콩, 태국은 예외였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주택담보대출 비율은 2021년 100%를 넘겼다. 2007년 60%대였던 이 비율이 크게 확대됐으며 태국, 말레이시아 등 다른 아태 국가에 비해서도 높았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지난해 6월 기준으로 내놓은 것을 봐도 GDP 대비 102%에 달했다. 당시 S&P는 한국을 호주(117%), 캐나다(106%)와 함께 가계부채 위험국가로 꼽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2021년 2분기부터 올해 2월까지 기준금리를 총 300bp(1bp=0.01%포인트) 인상하며 매파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옥스포드이코노믹스는 한국이 가계부채가 금리 상승에 따른 압박을 받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결과적으로 집값 하락폭이 '완만(modest)' 하긴 하지만 조정기를 거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경제 성장세가 더뎌 소득 증가는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소득 대비 주담대 규모는 2021년 기준 한국은 68%로 미국(63%), 태국(51%), 홍콩(60%)에 비해 많았다. 한국보다 많은 국가는 호주(180%), 뉴질랜드(105%), 말레이시아(76%) 등이었다. 한국의 소득 대비 주담대 규모는 2017년 대비 5.3%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미국과 호주는 각각 4.1%포인트, 1.6%포인트 감소했고 태국과 뉴질랜드는 3.8%포인트, 1.8%포인트 증가했다.

금리 인상으로 가계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소득이 대출보다 증가 속도가 더디면 가계부채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기관 부실로 전이되면 실물경제 위험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아태 지역에서 가장 집값 버블이 심한 곳으로 호주와 뉴질랜드가 꼽혔다. 옥스포드이코노믹스는 이들을 비롯한 아시아 일부 선진국의 주택 시장이 고전하고 있다면서 뉴질랜드의 집값은 10% 이상 조정됐다고 전했다. 집값 상승세를 보이는 다른 아태 지역 신흥국과는 달리 중국도 집값이 고점으로부터 3.3% 하락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미국 등에서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가운데 옥스포드이코노믹스는 전반적인 아태 지역 주택 시장은 저성장과 높은 금리에도 심각한 조정 없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해 12월 "2022년 4분기 한국의 집값이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4분기와 비교해 약 10%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당시 분석은 금리 인상이 본격화하기 이전인 2021년 4분기를 기준으로 한 것이어서 지난해 금리 인상 분을 반영하면 집값 하락 위험이 더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