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비비] 교과서로만 과학을 가르치는 나라

정두환 2023. 2. 13.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게 미국이 숱한 도전 속에서도 과학·기술 강국의 자리를 지켜내는 진짜 힘이다."정보기술(IT) 업체 대표직에서 물러난 지인의 최근 미국 방문 소감이다.

대한민국 과학교육의 현실을 들여다보면 그의 말은 기우가 아니다.

이달 초 윤석열 대통령은 경북 구미의 금오공과대학교에서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국가발전의 동력은 과학기술이고, 그 인재 양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정두환 콘텐츠매니저] "이게 미국이 숱한 도전 속에서도 과학·기술 강국의 자리를 지켜내는 진짜 힘이다."

정보기술(IT) 업체 대표직에서 물러난 지인의 최근 미국 방문 소감이다. 그가 다녀온 곳은 일리노이주 시카고. 일정 중 시간을 내 과학산업박물관(MSI·Museum of Science and Industry)을 관람한 단상이다. 그러면서 그는 그곳에서 착잡함을 느꼈다고 한다.

1933년 문을 연 MSI는 5만7000㎡의 면적에 75개 전시실을 갖춘 미국 최대 규모의 ‘체험형’ 박물관이다. 제2차세계대전 당시 미군이 나포한 독일군의 U505 잠수함 실물이 전시된 곳으로, 박물관측이 전시를 위해 잠수함을 먼저 옮겨놓은 뒤 그 위에 건물을 지었다는 일화로도 유명하다. 하지만 MSI가 유명한 것은 단지 눈으로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체험을 통해 과학과 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체험할 수 있는 살아있는 교육 현장이라는 점이다.

거기에서 그가 느낀 왜 착잡함은 무엇일까. “교과서로 읽고 암기하는 것이 전부인 우리나라 과학의 미래가 눈에 보여서…”라는 답이 되돌아왔다.

대한민국 과학교육의 현실을 들여다보면 그의 말은 기우가 아니다. 최근 한 입시기관 조사 결과가 이를 방증한다. 조사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과학기술의 산실로 불리는 전국 4개 과학기술원(IST)에서 중도 이탈한 학생 수가 1006명에 달한다고 한다. 기관 측은 이탈한 학생의 80~90%가 의학 계열로 이동했다는 추정도 덧붙였다.

의대 선호 현상이 하루 이틀의 일은 아니지만, 절반 이상이 과학고 출신인 IST 학생들이 대거 이탈하는 것은 결코 가볍게 볼 일은 아니다. 왜 이렇게 과학이 홀대를 받는 것일까.

실마리는 우리 초·중·고 교육 현장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서울의 한 학생에게 물어보니 중학교 3학년 때 과학 관련 실험을 한 횟수가 3차례에 불과하다고 한다. 고등학교로 옮겨가면 사실상 과학은 현장이 아닌 교과서에만 의존한 수업으로 변질된다. 한 대학의 전자공학 전공자는 고등학교 3년간 실험실 수업에 대한 기억이 거의 없었다고 고백한다. 문과생도 아닌 이과생의 기억이다. "대입 준비만도 빠듯한데 한가하게 실험하고 있을 시간이 있었겠어요?" 원리에 대한 체험과 이해가 생략된 채 결과만 외우는 암기식 과학 교육이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킬 리 만무하다.

이달 초 윤석열 대통령은 경북 구미의 금오공과대학교에서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국가발전의 동력은 과학기술이고, 그 인재 양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오공대는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이 ‘기술을 바탕으로 한 부국강병’을 천명하며 1975년 세운 학교다.

하지만 관련 학과 몇 개 만든다고 하루아침에 수만 명의 과학 기술 인재가 길러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기초 교육 단계부터 외면당한 과학 교육의 현실 속에서 인재 양성은 연목구어(緣木求魚)다. 윤석열 정부는 노동 연금과 함께 교육을 3대 개혁 과제로 천명했다. 어쩌면 국가의 미래를 위해 가장 시급한 개혁은 교육이다. 반도체·인공지능(AI ) 등 거창한 인재 양성을 논하기 전에 근본적인 고민 없는 개혁은 사상누각(沙上樓閣)일 뿐이다.

정두환 콘텐츠매니저 dhjung69@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