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권위적이지 않지?"... 팀장의 말에 '갑분싸' 된 이유 [싫어도-살자]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최유리 기자]
사무실에서 간식을 먹을 때 있었던 일이다. 사람들과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던 중 팀장이 대뜸 "나는 권위적이지 않은 사람이지. 그렇지 않아?"라고 사람들에게 물었다. 일순간 주변은 조용해졌다.
업무 시간 중에 함께 모여 간식도 나눠 먹으며 즐겁게 이야기하는 팀장의 모습은 권위적이지 않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갑자기 사람들이 조용해진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각자가 갖고 있는 '권위적'이라는 말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권위적'이라는 말의 사전적인 뜻은 '권위를 내세우는 것'이다. '권위'는 남을 지휘하거나 통솔하여 따르게 하는 힘, 일정한 분야에서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고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위신을 뜻한다. 타인을 지휘하거나 통솔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이런 점에서 어떤 사람이 '권위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냐고 질문한다면 굉장히 다양한 답변을 받게 된다.
폭력적인 것과 권위적인 것은 다릅니다
자기 말대로 하지 않는다며 시시때때로 소리를 지르는 사람, 실수한 팀원에게 '그것밖에 안 되냐'며 윽박지르는 사람, 의견을 제시하면 '내가 네 상사지 친구냐'며 화를 내는 사람 등. 이런 행동 역시 회사에서는 주로 상사가 부하직원에게 하는 행동이라는 점에서 권위적인 태도라고 할 수 있겠지만,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폭력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
본인이 '권위적이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던 팀장이 정의하는 '권위적'의 범주가 여기에 해당한 것이 아니었을까 미루어 짐작해본다. 이렇게 폭력적인 행동과 권위적인 행동을 헷갈리는 상황은 총칼로 공포정치를 일삼던 군사독재정권을 '권위주의 독재정권'으로 부르던 것을 연상시킨다. 팀장은 아마 '나는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이 아니니 권위적이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했을지 모른다. 하지만 폭력적인 것과 권위적인 것은 다르다.
|
▲ 드라마 '미생'에서 안영이에게 호통치는 마복렬 부장 |
ⓒ tvn |
취지를 제대로 이해한 상태에서 결정 사항을 이행하는 하급자의 태도와 '그냥 하라니까 해야지'하는 상태에서 결정 사항을 이행하는 하급자의 태도는 다르다. 팀원들이 자발적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권위적 태도를 버려야 한다. 학교에서든, 가족 안에서든 민주적 의사 결정 구조가 익숙한 요즘 세대들에게 '까라면 까'는 이제 버려야 할 태도다.
'권위적인 사람'은 조직 내 상급자에게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상급자의 지시사항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권위적인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복종만이 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그런 사람이다. 독일의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은 강자나 권위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소수집단을 미워하는 사람들을 '권위주의 성격'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목욕물 버리려다 아이까지 버리지 마세요
주의할 점은 '권위적인 사람'이 되지 않겠다고 '권위'까지 버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서는 결정이 필요하고, 그 결정에 책임을 지는 '권위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권위 있는 사람'이 어떤 사람이냐는 질문에는 '권위적인 사람'과는 전혀 다른 대답이 나올 것이다.
조직의 방향을 위해 오래 고민하고 적절한 판단과 결정을 내리는 사람, 실수했다면 곧바로 인정하고 잘못을 반복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사람, 판단의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자신의 결정을 다른 사람들에게 제대로 설득할 수 있는 사람, 자신의 결정에 제대로 책임을 지는 사람들이 주변 사람들의 존경과 신뢰를 받는 '권위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권위 있는 사람' 역시 조직 내 상급자에게만 필요한 모습은 아니다. 조직 내에서 각자의 분야에서 자기 일을 열심히 하고 맡은 분야에 있어서만큼은 정확히 판단하고 실행해내는 사람이라면 조직 내에서 그 분야에서만큼은 '권위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도 있다. '권위적인 사람'은 필요없지만 '권위있는 사람'은 곳곳에서 꼭 필요하다.
둘러앉아 간식을 나눠 먹던 사무실로 다시 돌아가 보자. 졸지에 '갑분싸'를 만든 팀장 입장에서는 다소 억울할 수도 있다. 그 팀장은 실제로 팀원들에게 늘 칭찬과 격려를 잘해주는 따뜻한 사람이고,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다. 나름대로 그런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질문에 일순간 얼음이 된 상황에 대해 적잖이 당황했으리라 생각한다. 상처받았을 팀장에게 이 글을 통해서라도 심심한 위로를 보내본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0억' 곽상도 무죄? 녹취록엔 돈 전달 고민 흔적 곳곳
- 천하람 "소신파 신인 키워 윤핵관 대체하겠다"
- 대정부'질문'에 질문으로 되치는 한동훈의 '검사화법'
- "윤 정권 퇴진운동이 북 지령? 삼류소설 받아쓰기"
- '저 SNS 글은 나를 욕하는 것'... 그 사라지지 않는 의심
- 미 대학 온라인시험 도운 조국 유죄? 교수들 "마녀사냥""광대극"
- 방콕에서 기차로 12시간... 한국인 제일 많이 만난 곳
- 첫 책으로 해외 진출 작가가 되었습니다
- '백발투사' 2주기... "거꾸로 가는 시절, 그리운 백기완 불호령"
- "미추홀 전세사기는 사회적 재난...피해자 면책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