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도 극찬한 '챗GPT'에…"김정은 어때" 물었더니 달라진 대답
인공지능(AI) 챗봇 '챗GPT'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잔인한 독재자 혹은 중요한 지도자"라고 답했다. 최근 글로벌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챗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는 미국 개발사 오픈AI가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이다.
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챗GPT는 김 국무위원장과 관련한 매체의 질문을 받고 "일부는 그를 북한 주민들의 권리와 자유를 훼손하는 잔인한 독재자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사람들은 그가 국가 안정과 미래를 확보하기 위해 일하는 중요한 지도자로 본다"고 했다.
'북한에 관한 시를 써보라'고 주문하자 챗GPT는 "북한은 신비와 힘의 땅. 그곳 사람들은 그림자 속에 살고 있어 보이지 않는다. 철의 의지, 무정한 심장으로 통치되는 나라. 자유가 꿈일 뿐이고, 찢기고 떨어진"이라고 적었다.
또 '북한 주민에게 어떤 말을 하고 싶나'라고 물었더니 "모든 인간은 존엄하게 살 권리가 있고, 기본적인 인권을 행사할 권리가 있다. 언젠가는 이런 권리가 존중되고 유지되는 사회에서 살 수 있기를 바란다"는 답이 나왔다.
이처럼 챗GPT는 북한과 관련해 일반적인 수준의 답을 하는 것으로 보이나, 출시 한달 만인 작년 12월에는 상식과 동떨어진 답을 내놓기도 했다.
영국 언론인 크리스 스토켈-워커는 지난 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기고한 '챗GPT와 AI가 과학에 의미하는 바'라는 글에서 작년 12월 챗GPT가 "북한 사람은 고문을 받아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고 지적했다.
스토켈-워커는 "지금은 (챗GPT가) 그렇게 답하지 않는다"면서도 "인공지능 사용자들에게 북한 등 국가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갖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도 최근 챗GPT를 거론하며 극찬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신년 업무보고 자리에서 "이쪽을 잘 아는 지인한테 2023년도 대통령 신년사를 챗GPT가 한번 써보게 해서 제가 받아봤다. 그럴 듯하다. 정말 훌륭하더라"며 "몇 자 고치면 그냥 대통령 신년사로 나가도 (괜찮을 정도)"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챗GPT를 공직자들이 각종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가 잘 이끌어달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정혜정 기자 jeong.hyejeong@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 여성 가슴 압박한 남성…오직 몸으로 붙는 한국 예능, 전세계 통했다 | 중앙일보
- 당구 캄보디아댁 '우승' 또 해냈다…고국 위해 준비 중이라는 일 | 중앙일보
- "떳떳하다"는 조민에…"父에 배운 대로" 조국 글 띄운 진중권 | 중앙일보
- '양궁 기보배.hwp' 파일 뜨자 난리…서울대 10:1 광클 전쟁 | 중앙일보
- "도와주세요"…튀르키예와 '12년 인연' 김연경 세 차례 호소 | 중앙일보
- 이승기, 이다인과 4월 7일 결혼…"프러포즈 승낙 받았다" | 중앙일보
- "꺼내주세요" 소녀의 호소…강진 잔해 속 17시간 동생 지켰다 | 중앙일보
- "남자로 태어나 다행""아름답다"…조민 외모 극찬한 친야 인사들 | 중앙일보
- 김정은, 딸 김주애와 이곳 찾았다…"우리 군이 제일 강해" | 중앙일보
- 이상민 탄핵 땐, 사상 초유의 일…김도읍 말고도 변수 둘 더 있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