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튀르키예 강진, 2300만명 피해 가능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일(현지시간)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2300만명에 이르는 사람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진단했다.
아델하이트 마르샹 WHO 비상대책관은 7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HO 이사회 회의에서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는 여진의 영향까지 고려할 때 어린이 140만명을 포함한 2300만명이 피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속한 인도주의 지원 강조
6일(현지시간)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2300만명에 이르는 사람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진단했다.
아델하이트 마르샹 WHO 비상대책관은 7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HO 이사회 회의에서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는 여진의 영향까지 고려할 때 어린이 140만명을 포함한 2300만명이 피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리아는 인도주의적 지원 필요성이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5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된 사망자와 수만 명의 부상자뿐 아니라 가옥과 건물 파괴, 일자리를 잃은 사람 등을 모두 고려한 피해 규모를 추산한 것으로 관측된다.
WHO는 당장의 피해 상황뿐 아니라 향후 여진과 사고 수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해까지 염두에 두고 인도주의적 지원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봤다. 캐서린 스몰우드 WHO 유럽지부 선임비상계획관은 전날 "추가 붕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사망자가 초기 통계보다 8배까지 증가하는 상황도 발생하곤 한다"고 경고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도 이날 이사회 회의에서 현재까지 드러나지 않은 피해 상황이 갈수록 늘어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그는 "아직 지진 피해 정보가 나오지 않고 있는 지역에 대해 특히 우려하고 있다"며 "우리가 관심을 집중해야 할 곳을 찾기 위해 피해 예상도를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WHO는 외상 치료와 응급 수술에 필요한 의료 키트, 비상 물품 등을 튀르키예와 시리아에 보내고 응급 의료 인력망을 가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마라톤뛰고 볼링치고 등산복사고…지방의원들 혈세 25억 펑펑 - 아시아경제
- “세뱃돈 기준 딱 정해준다”…설날 용돈·세뱃돈 얼마가 좋을까 - 아시아경제
- 美 글래머 "노골적인 의상과 대조 이뤘지만 지나친 집착"…트럼프 장녀 드레스 논란 - 아시아경
- 재벌이 뿌린 1만4000원 받으려다 압사…유족에 위로금 533만원 - 아시아경제
- "새벽 2시 배송, 죄송합니다"…택배문자에 울컥 - 아시아경제
- '국민연금 월 300만원 수령' 37년 만에 처음 나왔다…비결은 - 아시아경제
- "유부남인 것 뒤늦게 알았다" 했지만…'상간녀 피소' 하나경, 항소심도 패소 - 아시아경제
- "음력설을 또 중국설이라고"…유엔 우표에 서경덕 발끈 - 아시아경제
- '마약 강제 흡입 주장' 김나정, 검찰 송치…"강제성 입증 안돼" - 아시아경제
- "젊을 때 낳아라" 여대생 출산지원금 10배 대폭 인상하는 '이 나라'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