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균 전남도의원, ‘간척지를 갯벌로 복원’…역간척 사업 제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남도의회 농수산위원회 정영균 의원(사진, 더불어민주당, 순천1)은 지난 6일 제368회 임시회 해양수산국 소관 업무보고에서 "1960년대부터 식량 확보를 위해 메웠던 간척지를 다시 갯벌로 복원하는 역간척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해양수산부가 지난 2020년 기준 우리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는 최소 17조8121억원에 달한다고 발표했었다"며 "이처럼 세계적으로도 한국 갯벌은 생물다양성과 멸종위기 철새의 기착지로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전남 신안 갯벌, 보성-순천갯벌을 포함한 총 4곳이 한국의 갯벌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고 중요성을 논설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남도의회 농수산위원회 정영균 의원(사진, 더불어민주당, 순천1)은 지난 6일 제368회 임시회 해양수산국 소관 업무보고에서 “1960년대부터 식량 확보를 위해 메웠던 간척지를 다시 갯벌로 복원하는 역간척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해양수산부가 지난 2020년 기준 우리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는 최소 17조8121억원에 달한다고 발표했었다”며 “이처럼 세계적으로도 한국 갯벌은 생물다양성과 멸종위기 철새의 기착지로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전남 신안 갯벌, 보성-순천갯벌을 포함한 총 4곳이 한국의 갯벌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고 중요성을 논설했다.
이어 “우리나라 갯벌은 1300만t의 탄소를 저장하고 연간 26만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탄소흡수원으로 그 효용성이 증명되었다”며, “전남도 차원에서 탄소중립에 발맞춰 갯벌 식생·복원 사업을 확대 강화하자”고 말했다.
이에 최정기 해양수산국장은 “해양수산부에 역간척 사업을 건의한 상태로 적극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있으나마나’ 전세 보험… “수도권 빌라 66% 가입 불가”
- “월 100 번대서 왔는데” 노인 등치는 카파라치 학원
- 조민 “장학금 제가”-정경심 “모른 척해라” 이 가족의 단톡
- 정청래 “장관! 왜 이렇게 깐족대”… 한동훈 ‘웃음’으로 응수
- 정유라 “아시안게임 메달은 동네 가위바위보로 땄냐”
- 조민 “자질 충분” 발언에…의사들 “1년 남짓 한 애가”
- 주먹돌로 묻지마 얼굴 ‘퍽’… “술취해 기억 안나” [영상]
- 한동훈 “‘청담동 가짜뉴스’로 더탐사 큰돈, 김의겸 후원 꽉 채워”
- 조국 “사모펀드 거의 무죄” 한동훈 “NO”…판결문 보니
- 강진에 폭우·폭설까지… “사망 1만명 넘을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