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팡이 핀 ‘생강’, 절대 먹으면 안 되는 이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생강은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식재료다.
생강을 건강하게 먹기 위해서는 손질할 때 곰팡이가 피었는지 잘 확인해야 한다.
아플라톡신은 생강에 핀 곰팡이로 인해 생성되는 곰팡이 독소로,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해당 물질을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연구팀이 생강을 6개월 간 보관하면서 저장조건별로 발생하는 곰팡이와 곰팡이 독소를 분석한 결과, 10도 이하 온도에서 부패되기 시작하고 습도 90%에서 부패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강을 건강하게 먹기 위해서는 손질할 때 곰팡이가 피었는지 잘 확인해야 한다. 이미 곰팡이가 피었다면 ‘아플라톡신’과 같은 발암 물질이 들어있을 위험이 있다. 아플라톡신은 생강에 핀 곰팡이로 인해 생성되는 곰팡이 독소로,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해당 물질을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아플라톡신은 간암을 유발하고, 출혈 괴사, 부종, 졸음 등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생강은 수분이 많아 쉽게 부패할 수 있으므로 주변 습도와 온도를 잘 맞춰 보관해야 한다. 지나치게 온도가 낮거나 습한 곳에 오래 두면 상할 위험이 높다.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연구팀이 생강을 6개월 간 보관하면서 저장조건별로 발생하는 곰팡이와 곰팡이 독소를 분석한 결과, 10도 이하 온도에서 부패되기 시작하고 습도 90%에서 부패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총 곰팡이 수는 저장 조건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부패한 생강에서는 곰팡이 독소를 만들어 내는 붉은 곰팡이가 발견됐다. 가정에서 적정 온도·습도를 맞추기 어렵다면 부패 여부를 자주 확인하거나 잘게 다진 뒤 냉동고에 얼려 두는 것도 방법이다.
이미 생강이 썩었거나 곰팡이가 피었다면 즉시 버리도록 한다. 곰팡이가 핀 부분만 도려내거나 물에 끓여 먹어서도 안 된다. 보이지 않을 뿐, 곰팡이 독소는 여전히 생강 곳곳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곰팡이 독소는 열에 강해 끓이거나 튀겨도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이밖에 손질하기 위해 생강을 잘랐을 때 단면 색깔이 진하거나 곰팡이가 보이는 경우, 진물이 묻어 나오는 경우에도 먹지 말고 버려야 한다.
Copyright©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발기부전 개선하는 음식 '부추' '생강' 그리고…
- '하루 한 번, 레몬 식초와 초생강을 먹어라' 출간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생강' 효능, 감기는 물론 냉증 완화에도 탁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환절기 기관지 건강엔 '생강'이 특효… 주의할 사람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식약처 "무궁화·생강줄기 식품원료로 인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생강 속 성분이 치아 표면 세균 감염 예방에 효과있어"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생강의 효능, 기침에 탁월…그러나 피해야 할 사람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암관리법' 등 보건복지부 소관 20개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 JW신약, 프랑스 모발강화 화장품 독점 계약
- 조건부 꼬리표 뗀 유한양행 '렉라자'…2차 치료제로 정식 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