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챗GPT 대항마' 바드AI 발표…몇주내 서비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출시 두 달 만에 월 사용자 1억명을 돌파하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구글이 이에 맞설 대항마 '바드(Bard)' 출시를 공식화했다.
구글은 6일(현지시간) 새로운 대화형 AI서비스 바드를 소개하고 몇주 내 공식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뉴욕=조슬기나 특파원]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출시 두 달 만에 월 사용자 1억명을 돌파하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구글이 이에 맞설 대항마 '바드(Bard)' 출시를 공식화했다.
구글은 6일(현지시간) 새로운 대화형 AI서비스 바드를 소개하고 몇주 내 공식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순다르 피차이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회사 블로그를 통해 "공식 공개에 앞서 신뢰할만한 테스터들에게 개방할 것"이라며 "바드는 전 세계 지식을 대규모 언어모델의 힘, 지능, 창의성과 결합할 것"이라고 전했다.
바드는 구글의 기존 언어모델인 람다(Lamda)를 기반으로 한다. 피차이 CEO는 바드가 웹을 기반으로 고품질의 답변을 제시할 것이라며 "창의성을 위한 배출구이자 호기심의 발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9세 어린이에게 미 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새로운 발견을 설명하는 것처럼 복합한 주제를 단순화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세계 최고의 스트라이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훈련을 받을 수 있게끔 도와준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는 오픈AI의 챗GPT가 말 그대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전 세계 검색엔진시장을 장악해온 구글로서는 챗GPT의 급부상에 빠르게 대응하지 않을 경우 자칫 시장을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진 셈이다. 구글은 최근 AI스타트업인 앤스로픽에 4억달러를 투자하기도 했다.
피차이 CEO는 "바드의 응답이 실제 정보의 품질과 안전성, 근거에 대한 높은 기준을 충족하도록 외부 피드백을 자체 내부 테스트와 결합할 것"이라며 "우리는 바드의 품질과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이 테스트 단계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욕=조슬기나 특파원 seul@asiae.co.kr
Copyright©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신했냐" 조롱에…생방 중 "암으로 자궁 잃었다" 고백한 캐나다 리포터 - 아시아경제
- "매번 끌려 나간단다…재벌이 병풍이냐, 그들 표정을 보라" - 아시아경제
- "못 살겠다" 부자들이 탈출하는 최악의 나라…한국 7위, 1위는 - 아시아경제
- "마트에 갇혀 하루 버티면 1300만원"…45일로 6억 받아간 美남성 - 아시아경제
- "위안부는 매춘부…한국, 구걸 집단" 日시의원 사직 거부 - 아시아경제
- '전교 1등 소년가장' 김홍일, 백종원 가정교사였다 - 아시아경제
- 이재용, 시민들 향해 웃으며 "왜 이렇게 아이폰이 많나요" - 아시아경제
- "방사능 때문 아니냐" 日물고기떼 폐사, 중국이 더 놀라네 - 아시아경제
- 어젠 오마카세 자랑, 오늘은 컵라면…'모순적 소비' 트렌드 - 아시아경제
- 김남국 "尹대통령, 바쁜 재벌 총수들 부산 떡볶이 먹방에 동원"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