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격은 어쩔티비(feat.김태균)] 지안카를로 스탠튼은 밀어치지 않는다

김식 2023. 2. 6. 07: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간스포츠가 2023년 신년 시리즈로 '타격은 어쩔티비(feat.김태균)'를 연재합니다. 한국 야구 역사상 최고의 타자 중 하나로 꼽히는 김태균 해설위원이 연구한 야구, 특히 타격에 대한 이론·시각을 공유합니다. 이 시리즈를 통해 타격의 재미, 나아가 야구의 깊이를 독자들이 함께하길 기대합니다. 〈편집자 주〉
 

지난 연재에서 스트라이크존 상·하단 공략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에는 좌·우 코스 공략에 대한 이야기다. 내 몸으로부터 가까운 공(인사이드 피치)과 먼 공(아웃사이드 피치)을 공략하는 방법은 당연히 달라야 한다. 

나는 스윙에서 ‘벽’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여러 번 강조했다. 여기서 ‘벽’이란 오른손 타자의 경우 왼 어깨부터 골반을 고정하는 걸 의미한다.

타자가 스윙을 하면 허리와 엉덩이를 회전하면서 어깨도 어차피 돌아가기 마련이다. 다만 허리보다 어깨가 먼저 회전하면 안 된다는 뜻이다. 바깥쪽 공을 칠 때는 특히 그렇다. 몸쪽 공에 대응할 땐 어깨를 조금 빨리 열기는 해야 한다.

나는 ‘벽’에 특히 집착했다. 적이 침략할 때 성벽은 끝까지 닫혀 있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스트라이크라고 하더라도 몸쪽 공을 칠 생각은 거의 하지 않았다. 어릴 때부터 ‘몸쪽 공을 의식하는 순간, 이번 타석은 끝난 거다’라고 생각했다.

인사이드 피치에 대응하려면 어깨가 먼저 열리게 돼 있다. 난 그게 너무 싫었다. 어깨가 열리면 몸쪽으로 깊게 들어오는 볼에도 반응하게 됐다. 몸쪽 스트라이크를 치기도 어려운데 볼을 건드리는 것이다. 그 자세로 배트 중심에 공을 맞힌다 해도 파울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전성기 때 “김태균은 몸쪽 공도 잘 친다”는 말을 들었다. 실제로 인코스 타율이 꽤 높은 적도 있었다. 그러나 그건 잘 대응한 것일 뿐, 잘 공략한 게 아니었다. 꼭 쳐야할 때 인사이드 피치가 날아오면 허리 회전력을 이용해 받아쳤다. 힙턴을 이용해 공을 밀고 나간 것이지 내 힘을 완전히 실은 스윙은 아니었던 거다. 

난 주로 아웃사이드 피치를 노렸다. 바깥쪽은 투수들이 가장 잘 던지는 코스다. 반면 타자 입장에서는 시야에서 먼 공이기 때문에 제대로 치기 어렵다.
 

  바깥쪽 공은 오른손으로 후려친다

오른손 타자가 바깥쪽 공을 잘 치기 위한 핵심 요소는 오른손을 잘 써야 한다는 것이다. 두 손으로 배트를 잡지만 임팩트 때는 오른손에 힘을 ‘적당히’ 줘야 한다는 의미다.

왜 오른손으로 쳐야하는지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스트라이크존 바깥쪽으로 휘거나 떨어지는 투구를 타자가 한손을 놓으며(오른손 타자의 경우 왼손으로만) 치는 장면을 여러 번 봤을 것이다. 타자로부터 공이 너무 멀어서 오른손을 배트에서 떼고 왼손만으로 콘택트 하는 동작이다. 이때 공을 배트에 정확히 맞혀도 이런 타구는 대부분 힘없는 팝플라이(pop-fly)가 되거나 파울 존으로 휘어나간다. 타구에 힘이 실리지 않기 때문이다.

바깥쪽 공을 후려친 공이 파울이 되지 않으려면 오른손 힘을 써야 한다. 그래야 잘 맞은 타구가 페어 지역에 떨어진다. 

다만 이걸 너무 의식해서 오른손에 힘을 꽉 주면 안 된다. 오른손목이 돌아가기(손등이 하늘을 향하게 되기) 때문이다. 배트 중심에 공을 맞혔다고 해도 드라이브가 걸려 땅볼이 되기 쉽다. 그래서 바깥쪽 공을 타격할 때 오른손 힘을 ‘적당히’ 줘야 한다는 거다.

내가 아웃사이드 피치를 공략해 만든 홈런들은 이런 스윙에서 나왔다. 밀어 친다고 생각한 적은 없다. 바깥쪽 공도 당겨 친다거나 후려치는 느낌으로 타격했다.

메이저리그(MLB) 뉴욕 양키스의 강타자 지안카를로 스탠튼의 타격을 보라. 오른손 타자인 그는 왼발을 1루쪽으로 향하는, 극단적인 클로즈드 스탠스(closed stance)로 선다. 바깥쪽 공을 노리는 자세다. 스탠튼은 오른쪽 담장 너머로 홈런을 자주 날린다. 그걸 보고 “잘 밀어 친다”고 얘기하는데, 내 눈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스탠튼은 바깥쪽 공도 잘 당겨 치는 거다.


물론 스탠튼의 키(1m98㎝)가 크고 팔도 기니까 이런 타격이 가능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대로 최정 선수는 홈플레이트 쪽으로 전진, 바깥쪽 투구를 가운데 공처럼 당겨 치는 타격을 선택했다. 스탠튼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그는 클로즈드 스탠스와 긴 리치를 이용해 바깥쪽 공을 가운데 공처럼 만든다. 그리고 밀지 않고 제대로 후려친다.



당겨 치기는 오른쪽 타자가 좌익수 쪽으로 타구를 보내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건 타격의 결과일 뿐이다. 당겨 친다는 말은 스윙의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오른손의 힘을 충분히 쓰는 타법이 풀 히팅(pull hitting)이다. 스탠튼은 바깥쪽 공을 ‘당겨 쳐서’ 우익수 쪽으로 보내는 기술이 탁월하다. 게다가 투구를 ‘깎아 치는’ 테크닉도 뛰어난 타자다.



반대로 오른손 타자가 몸쪽 공을 칠 때는 왼손으로 리드해야(힘을 줘야) 한다. 인사이드 피치에 대응할 때 오른손 리드로 스윙하면 힙턴과 함께 방망이가 작은 궤적으로 돌기 쉽다. 이러면 임팩트에서 오른 손목을 덮게 되고 힘없는 땅볼을 굴릴 확률이 크다.

인사이드 피치가 날아오면 왼손을 이용해 방망이를 몸 바깥으로 재빨리 빼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오른손은 배트를 살짝 놓는다. 왼손이 리드해 스윙 궤적이 앞으로(투수 쪽으로) 향하게 하면서 피칭의 궤적과 만나는 것이다. 그래야 콘택트 존이 확보된다.

 
  때로는 치지 않는 게 상책이다

솔직히 말하면 내가 이런 스윙을 한 것은 서른 살 전후에나 가능했다. 즉 힘이 여전했고, 기술의 완성도가 높았을 때였다. 우선 바깥쪽 공을 노리고 들어갔다가 몸쪽으로 날아오면 순간적으로 두 팔꿈치를 몸통에 붙인 채 빠르게 회전했다. 허릿심을 이용해 시속 150㎞의 공에도 대응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나이를 먹고, 파워가 떨어지니까 인사이드 피치를 제대로 치기 어려웠다. 그럴 때는 공을 건드리지 않는 게 상책이다. 그 투구가 아니라도 다음 기회는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렇게 스윙하는 게 쉽지는 않다. 투수가 던진 공은 0.4초 만에 홈플레이트를 통과한다. 어떤 경우에도 완벽한 대응은 불가능하다. 연구와 훈련을 통해 대응력을 높이는 게 타자가 할 일이다.

내가 몸쪽 공을 가장 잘 때린 장면이 2009년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아시아라운드 1위 결정전에서 나왔다. 한국 대표팀 4번 타자였던 내가 일본 선발 투수 이와쿠마 히사시로부터 4회 좌익선상으로 적시타를 때려 1-0으로 이긴 경기였다. 일본 투수 중 최고의 테크니션을 상대로 그동안 축적한 내 타격 기술이 효과를 본 순간이었다.

결과적으로 잘 때린 타구였지만, 사실 배팅 타이밍이 조금 늦었다. 몸쪽 가운데 높이의 직구인 줄 알고 스윙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왼손에 힘을 더 주려는 찰나, 공이 몸쪽으로 휘어들어오면서 살짝 떨어졌다. 이와쿠마의 주 무기 슈트(투심 패스트볼)였다.

스윙 궤적을 바꿔야 했다. 순간적으로 다시 오른손에 힘을 줬다. 몸쪽 낮은 투구를 양손의 힘을 이용해 앞으로 밀어냈다. 인사이드 피치를 밀어 쳤다. 평소 몸쪽 공에 대응하듯이 왼손이 리드해 치려 했다면 타구에 힘이 실리지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그건 변칙적인 타격이었다고 할 수 있다. 나중에 같은 투수가 같은 공을 던진다고 해도 결과를 낸다는 보장이 없다. 그래도 꾸준히 연구하고 반복적으로 훈련한다면 세 타석 중 한 번은 좋은 타구를 날릴 수 있다. 변칙도 내 나름의 원칙 위에서 변주한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타격은 노답이다. 

KBS 해설위원, 정리=김식 기자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