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유튜버 유미 영상 조회수 4만여회…CNN '북한판 브이로그' 조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 유튜버 '유미(YuMi)'의 영상이 조회 수 4만여 회를 기록하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미 CNN방송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N은 '올리비아 나타샤-유미 스페이스 DPRK 데일리'라는 유튜브 채널에 6개월 전 올라온 한 평양 거주 여성 유미를 집중 조명했다.
지난해 유튜브 채널 '샐리 파크스'에는 평양에 거주하는 11살 소녀 송아가 등장해 '북한 키즈 유튜버'로 주목받기도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북한 유튜버 '유미(YuMi)'의 영상이 조회 수 4만여 회를 기록하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미 CNN방송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N은 '올리비아 나타샤-유미 스페이스 DPRK 데일리'라는 유튜브 채널에 6개월 전 올라온 한 평양 거주 여성 유미를 집중 조명했다.
영상에서 유미는 마치 브이로그(VLOG·개인의 일상을 담은 동영상)를 찍듯 '음료 상점'이라는 간판이 달린 가게에 들어가 아이스크림을 집어 들고 "(포장지) 그림이 너무 귀엽다" 등 대사를 이어간다.
채널에는 이 외에도 유미가 놀이공원을 놀러 가거나 낚시를 하고, 장비가 풀 세팅된 헬스장에서 운동하는 등 10여개 영상이 올라와 있다.
지난해 유튜브 채널 '샐리 파크스'에는 평양에 거주하는 11살 소녀 송아가 등장해 '북한 키즈 유튜버'로 주목받기도 했다. 송아는 영상에서 '해리포터'를 가장 좋아하는 책이라고 밝히고, 북한의 문수물놀이장을 방문하기도 한다. 이 채널은 2만 구독자를 돌파했다.
이들 채널은 북한 주민들의 일상생활을 알린다고 주장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를 북한 고위층 주도로 고안된 체제 선전 캠페인으로 추정한다고 CNN은 전했다.
특히 영상에 배경으로 등장하는 놀이공원이나 워터파크 등 장소는 특정 계층만 사용할 수 있고, 실제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북한인권정보센터 박성철 연구위원은 CNN에 "(이 영상은) 북한 정권에 의해 잘 준비된 연극 같다"며 "(북한 주민들의) 평범한 삶을 반영하는 영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 "전설의 요금제가 부활했다" 월 1만원대 7GB 평생제공
- [단독]우리은행 ‘부서 내 성추행’ 파문…가해자 정직 처분
- '순자산 7800억' 넷플릭스 출연 억만장자 상속녀, 뇌졸중으로 사망
- "라덕연은 종교야 발언, 잘 보이고 싶어서…반성한다" 임창정 측 뒤늦게 사과
- "가방에서 물 같은 게…" 정유정 태운 택시기사 트라우마 호소
- 오염수 방류 앞두고…후쿠시마 우럭에서 기준치 180배 세슘 검출
- 월요일 출근하셨나요? 우린 다 놀았어요
- '부산 돌려차기' 피해자 "내 집 주소 외우고 있다더라" 보복 공포
- "450만원 헤드셋, 적정 가격인가"…팀 쿡의 대답은
- 서울시, 21층 이상 아파트도 돌출개방형 발코니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