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보행자 중심 사회, 더 빨리 다가온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행정안전부는 중앙보행안전편의증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행자 중심의 교통안전 체계(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2023년 국가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고 5일 밝혔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번 2023년 실행계획은 보행자 중심으로의 교통안전 체계(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범정부 정책 추진의 첫걸음이다"라며, "실행계획의 차질없는 이행을 위해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 행정안전부는 중앙보행안전편의증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행자 중심의 교통안전 체계(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2023년 국가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고 5일 밝혔다.
올해는 ▲보행자 안전·편의를 중심으로 보행환경 기반(인프라) 확충, ▲보행의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한 보행자 중심 교통문화 확산을 목표로 안전한 보행안전 환경 조성을 위해 본격 추진한다.
'2023년 국가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실행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부분의 보행자 사고가 발생하는 이면도로와 교차로·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위해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사고 데이터에 기반한 체계적 보행안전 위험요인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누구에게나 차별없는 보행권 보장을 위해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보행약자 맞춤형 제도와 기반(인프라) 정비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보행안전 확보뿐만 아니라, 나아가 쾌적하고 편리한 보행자 중심 환경 조성을 통한 보행 활성화를 아울러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데이터·정보통신(IT)기술 활용 기반 마련 및 교통·보행안전 선진문화 조성을 통해 보행정책 추진 저변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교통약자의 보행안전 중요성 증대, 보행안전 정책에 적용 가능한 과학기술의 획기적 발달 등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실행계획의 정책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번 2023년 실행계획은 보행자 중심으로의 교통안전 체계(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범정부 정책 추진의 첫걸음이다”라며, “실행계획의 차질없는 이행을 위해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라고 밝혔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故정주영 회장 63세 며느리, 태극마크 달고 아시안게임 출전한다 - 아시아경제
- "고급 과일이었는데…한국에 당했다" 가격 폭락에 고민에 빠진 日 - 아시아경제
- 구독자 200만 인니 인플루언서…돼지껍데기 먹방 후 감옥행 '위기' - 아시아경제
- "당 대표 체포안 통과에 웃음이 나냐" 개딸 타깃된 고민정 - 아시아경제
- "일단 한번 먹어봐"…정용진 부회장이 극찬한 4000원 자장면 - 아시아경제
- 바다에 둥둥 떠있던 고래 사체…다가가자 갑자기 '펑' 터져 - 아시아경제
- "연주에 방해된다" 젖꼭지까지 제거한 일본 기타리스트 - 아시아경제
- 107kg 달했던 오프라 윈프리 "비만치료제 혹했지만…내 힘으로 감량" - 아시아경제
- "우리 애 모기 물렸잖아, 신경 좀 써줘요" 어린이집 교사의 하루 - 아시아경제
- "부장검사 X화났다는데? ㅋㅋㅋㅋ" MZ조폭들의 조롱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