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군수 장비 러시아에 공급해 우크라 침공 지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군수 장비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원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둔 비영리단체(C4ADS)에서 받은 러시아 세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국 국영 방산업체들이 내비게이션 장비, 전파방해 기술, 전투기 부품 등을 러시아 국영 방산업체에 수출해온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장세희 기자]중국이 군수 장비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원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둔 비영리단체(C4ADS)에서 받은 러시아 세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국 국영 방산업체들이 내비게이션 장비, 전파방해 기술, 전투기 부품 등을 러시아 국영 방산업체에 수출해온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런 품목은 중국이 러시아에 수출한 이중용도 품목 수만 개 중에서 일부에 불과하다고 WSJ은 보도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중국 국영 방산업체 '폴리테크놀로지'는 작년 8월 31일 러시아 국영 군사장비업체 'JSC로소보넥스포트'에 M-17 군용헬기의 항법장치를 수출했다.
이중용도는 군사적 용도로 전용할 수 있는 상품을 일컫는 말로, 현대전 수행에 필수적인 반도체가 대표적인 이중용도 상품이다.
러시아가 사들인 이중용도 상품 대부분이 중국산이었다고 WSJ은 보도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5∼6일로 계획했던 방중 기간에 중국의 러시아 지원 문제를 의제로 다룰 예정이었다. 블링컨 장관의 중국 방문은 중국의 정찰 풍선 사태로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황제펭귄 물에 빠져 죽고 얼어 죽고…"결국 멸종할 것" 남극에 내려진 경고 - 아시아경제
- 韓 선수들과 친했는데…남북대결 이기고도 악수 뿌리친 北 선수[아시안게임] - 아시아경제
- 추석연휴 병원·약국 이용하면 비용 1499원 더 부담 - 아시아경제
- 가수 비, 85억 부동산 사기 혐의 피소…"연예인 흠집내기" 반박 - 아시아경제
- 거꾸로 가는 돈나무언니…엔비디아 대신 픽한 이 종목 - 아시아경제
- "셋 낳으면 1200만원, 난임시술 무제한 지원" 우유 회사의 파격 - 아시아경제
- "게임했더니 48도까지"…아이폰15 발열·내구성 시끌 - 아시아경제
- "100장씩 샀다" 버거킹 40% 파격할인, 사재기에 조기종료 - 아시아경제
- “일시금 10억원·매월 1억원 기부합니다” … 20대 청년, 장학재단에 쾌척 - 아시아경제
- SM 떠난 이수만 근황…미국서 나무 심고 기부한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