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시장 5000억 시대…‘국공립 극장들’의 역할

박정선 2023. 2. 4. 11: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작년 공연 시장이 역대급 호황을 누리며 최고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티켓 판매액 기준 약 5600억원을 기록하는 등 엔데믹 이후 급성장을 이뤄낸 공연계지만, 향후 시장이 탄탄히 자리 잡기 위해선 극장들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예술경영지원센터는 보고서에서 "팬데믹, 대규모 사건·사고 등 공연 시장에 큰 영향을 주는 외부적 요인 없이 2022년의 성장세와 탄력을 이어간다면 2023년 한국 공연 시장은 약 9000억원 이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공연 시장이 역대급 호황을 누리며 최고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티켓 판매액 기준 약 5600억원을 기록하는 등 엔데믹 이후 급성장을 이뤄낸 공연계지만, 향후 시장이 탄탄히 자리 잡기 위해선 극장들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2022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한 뮤지컬 '웃는남자' 공연 장면. 창작 작품으로는 유일하게 지난해 티켓예매순위 TOP3에 이름을 올렸다. ⓒEMK뮤지컬컴퍼니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발표한 ‘2022년 공연시장 동향 총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공연 티켓 판매액을 5590억원이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약 3897억원)보다 43% 늘었다. 티켓 판매액은 전년(2021년)에 비해서는 82% 증가한 규모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기준 작년에는 전국에서 총 1만4447건의 공연이 무대에 올려졌다. 공연 건수는 2021년 대비 36%, 공연 회차는 46% 늘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관련한 각종 규제의 점진적 완화와 함께 그동안 억눌렸던 공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공연시장이 크게 성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공연 시장의 확대를 견인한 장르는 뮤지컬이다. 대형 공연장, 장기 공연회차, 높은 평균 티켓 가격 등의 영향으로 티켓 판매액은 뮤지컬이 전체 공연 시장의 76%(약 4253억원)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뮤지컬 안에서도 라이선스, 내한 공연 등이 티켓예매순위 상위권에 다수 포진됐다. 상위 20개 공연 중 창작 뮤지컬은 단 4개에 그쳤다.


예술경영지원센터는 보고서에서 “팬데믹, 대규모 사건·사고 등 공연 시장에 큰 영향을 주는 외부적 요인 없이 2022년의 성장세와 탄력을 이어간다면 2023년 한국 공연 시장은 약 9000억원 이상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 공연 시장의 성장을 반기면서도 공연 수요의 양극화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입을 모은다.


특히 팬데믹 기간, 리스크가 큰 창작 작품을 올리는 것보다 라이선스, 내한 공연 등 흥행이 보장된 유명 작품들을 올리면서 양극화는 더욱 커진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업계에선 국공립 극장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국립정동극장, 세종문화회관 등이 ‘제작극장’으로서의 변화를 알리면서 창작 작품 개발에 힘쓰면서다.


지난달 31일 세종문화회관은 ‘2023 세종시즌’ 라인업을 공개하면서 “올해 제작 직군 인력을 늘려 제작 역량을 키우겠다”고 밝혔다. 서울시극단,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서울시합창단, 서울시뮤지컬단, 서울시무용단, 서울시오페라단 등 6개 산하 예술단을 지닌 세종문화회관은 지난해부터 예술단들의 자체 제작 공연의 비중을 크게 늘려 대관이 아닌 제작 중심의 극장으로 운영 방식을 변화시켰다. 올해는 12편의 신작을 공개하는 한편 지난해 선보인 신작들을 재공연을 통해 완성도를 높여 예술단 고유의 레퍼토리로 자리 잡게 한다는 계획이다.


세종문화회관 안호상 사장은 “개선된 환경에 걸맞은 내면적인 변화와 프로그램으로 보답해야 한다는 책임을 느낀다”며 “한류의 인기와 공연 시장의 양적 성장, 공연 수요의 양극화라는 환경에서 순수예술 장르 공연 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통공연장의 이미지가 강했던 국립정동극장 역시 제작 극장으로서 변모해 창작 작품들을 연이어 선보이고 있다. 정동극장 측 역시 “뛰어난 창작자 또는 제작사를 선정하고 예산을 지원, 작품을 무대화하는 2차 제작극장으로서 수준 높은 창작 작품의 레퍼토리화를 통해 공연예술인과 관객이 함께할 수 있는 차별화된 무대를 제공하겠다”며 국립공연장의 역할을 강조한 바 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