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성 없는 전쟁터... 키움의 '좌익수 오디션' 시작됐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승 문턱을 넘지 못한 키움 히어로즈가 한국시리즈 준우승의 아쉬움을 뒤로하고 2023시즌 준비에 돌입했다.
500이닝 이상을 소화한 좌익수가 한 명도 없을 정도로 시즌 중에도 경쟁이 진행됐다.
문제는 키움의 좌익수 고민이 포스트시즌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올 시즌이 끝나면 키움은 좌익수뿐만 아니라 중견수도 고민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준상 기자]
우승 문턱을 넘지 못한 키움 히어로즈가 한국시리즈 준우승의 아쉬움을 뒤로하고 2023시즌 준비에 돌입했다. 홍원기 감독이 이끄는 1군 선수단은 미국 애리조나에서, 설종진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퓨처스(2군)팀은 대만 가오슝에서 스프링캠프를 진행한다.
지난해에 비해 전력 유출이 크지 않았던 만큼 올해도 키움은 가을야구 그 이상까지 바라본다. 더구나 빅리그 도전을 앞둔 주전 외야수 이정후의 마지막 시즌이기 때문에 좋은 성적을 내고 싶은 욕심이 클 수밖에 없다.
|
▲ 이용규는 정규시즌에서, 김준완은 포스트시즌에서 팀 내에서 좌익수로 가장 많은 이닝을 소화했다. |
ⓒ 키움 히어로즈 |
지난해 좌익수로 나온 선수만 10명이었다
KBO리그 기록 전문 사이트 '스탯티즈'에 따르면, 지난해 팀 내에서 좌익수로 1군 경기를 1이닝이라도 뛴 선수가 10명에 달한다. 500이닝 이상을 소화한 좌익수가 한 명도 없을 정도로 시즌 중에도 경쟁이 진행됐다.
가장 많은 수비이닝을 기록한 선수는 '베테랑' 이용규(61경기 442⅓이닝)였다. 직전 시즌에는 좌, 우 외야 코너 수비를 맡았다면 지난해에는 좌익수에만 집중했다. 다만 지명타자를 포함한 출전 경기 수 자체가 전년도보다 크게 감소(2021년 133경기→지난해 86경기)한 모습이었다.
그 뒤를 이은 선수는 김준완(65경기 399⅓이닝)이었다. NC 다이노스 시절에도 좌익수로 많은 이닝을 소화했으나 주로 중견수로 그라운드를 밟았고, 좌익수로만 400이닝 가까이 뛴 것은 프로 데뷔 이후 지난해가 처음이었다.
이밖에 임지열(155이닝), 박찬혁(74이닝), 김태진(64이닝), 박준태(62⅔이닝), 박주홍(59이닝) 등이 뒤를 이었다. 문제는 키움의 좌익수 고민이 포스트시즌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선발 라인업만 봐도 알 수 있다.
|
▲ 지난해 가을야구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긴 임지열 |
ⓒ 키움 히어로즈 |
올해도 키움의 좌익수 경쟁은 '현재진행형'
해가 지나도 주전 좌익수는 확실하게 정해지지 않았다. 홍원기 감독은 퓨처스 FA로 영입한 외야수 이형종을 좌익수가 아닌 우익수로 기용할 계획임을 밝히면서 지난해 1군에서 기회를 받았던 선수들이 다시 경쟁을 벌여야 한다.
현재로선 지난해 각각 정규시즌, 포스트시즌서 가장 많이 기회를 받았던 이용규와 김준완의 2파전 구도가 유력하다. 한 시즌을 안정감 있게 끌고 가야 하는 만큼 경험이 전무한 선수에게 주전 좌익수 자리를 맡길 수는 없는 노릇이다.
공교롭게도 두 선수는 1군 캠프가 열리는 미국 애리조나가 아닌 대만으로 향했다. 실전 위주로 컨디션을 조율할 필요가 있는 선수들이 대거 퓨처스 캠프에 합류했고, 연습경기를 통해서 기량을 점검할 예정이다.
지난해 포스트시즌에서 '조커' 역할을 톡톡히 했던 임지열, 올겨울 호주프로야구(ABL) 질롱코리아에 파견돼 경험을 쌓은 박주홍과 박찬혁도 주전 자리를 노린다. 오는 3월에 열리는 시범경기까지 홍원기 감독의 눈도장을 확실하게 받는 선수가 살아남는다.
또 한 가지, 올 시즌이 끝나면 키움은 좌익수뿐만 아니라 중견수도 고민해야 한다. 이정후의 공백을 누군가는 메워야 하기 때문이다. 키움 외야진에게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즌이 다가오고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기록 출처 = 스탯티즈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