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교섭’ 임순례 “블록버스터도 할 수 있어요, 납득이 된다면”

정진영 2023. 1. 30. 06: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장인은 도구를 탓하지 않는다고 했던가. 이 말을 영화판에 적용시키자면 명장은 장르를 가리지 않는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영화 ‘교섭’을 통해 처음으로 액션 블록버스터 연출에 도전한 임순례 감독을 최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바로 직전 연출작이 ‘리틀 포레스트’(2018)였다는 걸 감안하면 ‘교섭’은 분명 의외라는 생각이 드는 선택이었다. 임 감독은 “손익분기점을 넘겨야 한다는 걱정을 오랜만에 한 것 같다”며 웃었다.

“사실 처음 의뢰를 받았을 때만 해도 예산이 부담이 되거나 크게 신경 쓰이지는 않았거든요. 근데 외국에서 촬영을 하다 보니 스케일이 커지기도 했고, 코로나19 때문에 예산이 더 늘어나기도 해서 뒤늦게 좀 걱정이 되더라고요. ‘리틀 포레스트’ 때 예산이 15억 원 정도였는데 그 10배가 넘는다는 자각을 하고 나니 걱정이 됐어요.”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상업영화를 만드는 감독에게 예산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요소다. 특히 ‘교섭’처럼 스케일이 큰 액션 영화일 경우엔 더욱 그렇다. 관객들의 마음에 들 만한, 상업적으로 흥행할 요소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임순례 감독은 “그 부분이 결국 가장 큰 고민의 지점이 됐다”고 털어놨다.

그럼에도 타협하지 않은 건 있다. 납득되지 않는 살해 장면을 넣지 않는 것과 죽음을 지나치게 자극적으로 묘사하지 않는 것이다. 실제 ‘교섭’에는 사람이 죽는 장면이 단 한 컷밖에 나오지 않는다.

“버스기사가 죽는 장면이 나오긴 하는데, 사실 저는 그 장면도 넣지 말자는 주의였거든요. 그래도 상황상 어쩔 수 없이 필요한 장면이라고 판단해서 넣었어요. 사실 저는 이유가 없는 건 별로예요. 조금 더 자극적이고 센 장면을 만들 수는 있겠지만, 저는 그런 장면을 만들고 싶지 않더라고요. 아무리 우리가 ‘악의 축’이라고 부를 만한 사람을 그린다 하더라도 사람을 잔인하게 참수하거나 하는 장면은 넣고 싶지 않았어요. 이유 없이 사람을 죽이고 그런 장면들이 요즘 너무 많잖아요. 관객 입장에서 봤을 때 저는 그런 장면들이 조금 불편하게 느껴지거든요. 총을 쏘고 사람을 죽이더라도 이유가 있는 액션을 만들고 싶었어요.”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사실 액션과 별개로 ‘교섭’은 연출하기 쉬운 작품은 아니었다. 한국 역사상 최악의 피랍 사태로 꼽히는 탈레반 납치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제보자’(2014)를 통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작품을 매끄럽게 연출하는 능력을 입증한 임 감독은 이번에도 사람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집중, 논란의 여지를 최소화했다.

물론 그 역시 부담스럽기는 했다. “한국 영화에서 쉽게 다루기 어려운 소재”라고 입을 연 임 감독은 “소재가 마치 양날의 검 같았다. 부담스러운 지점도 분명히 있었다”고 고백했다.

“당연히 여행제한국가에 간 것엔 잘못이 있죠. 하지만 그 부분에 너무 포커스를 맞추게 되면 영화의 초점이 불필요한 다른 논쟁으로 기울 것 같았어요. 그래서 가급적이면 그런 부분을 좀 떠나서 영화 자체에 집중하도록 하려고 했어요.”

이 영화의 주인공으로 국정원 요원과 외교부 직원을 주인공으로 한 게 임 감독이 선택한 해법이었다. 국민을 구해야 하는 임무를 띈 이들이 자신의 목숨이 위험한 상황에서 어디까지 소명을 다할 수 있을 것인지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이를 통해 국가가 가지고 있는 ‘국민에 대한 책임’을 그리려고 했다.

임 감독은 “국가의 책임은 일단 우리 국민을 안전하게 귀국시키는 것이고, 잘잘못은 그 후에 따질 부분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때문의 영화의 큰 줄기는 실화에서 가지고 왔으나 그것을 풀어내는 과정에서 등장한 세세한 설정들은 대부분 영화적 상상력에서 비롯됐다. 임 감독은 “스무명이 넘는 큰 규모의 사람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이라는 집단에 의해 납치가 됐다. 그리고 한, 두명이 목숨을 잃었으나 정부의 협상에 의해 다른 사람들은 안전하게 귀국을 했다는 것 정도만 실제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교섭’에서 황정민이 연기한 외교부의 협상 전문가 정재호, 그리고 현빈이 연기한 국정원 요원 박대식은 모두 만들어낸 인물이에요. 현지에서 통역을 담당한 카심(강기영 분) 역시 마찬가지고요. 협상 과정의 리얼리티는 사실 다큐멘터리나 시사 프로그램에서 다뤄야 하는 거라고 봐요. 그래서 저는 사건의 큰 줄기만 참고를 했어요.”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협상 내용 자체도 완전히 파악하는 게 불가능했던 데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직접 촬영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보니 영화를 준비하며 공부하고 연구할 부분이 많았다. 영화에는 현지 촬영 스태프들이 보내온 아프가니스탄의 풍광이 삽입돼 있는데 자세히 보면 화질이 다른 장면들과 조금 다르다. 현지 사정에 따라야 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자료 조사부터 촬영까지 쉬운 과정은 하나도 없었지만 임 감독은 또 이런 기회가 있다면 또 하고 싶다고 이야기했다. 영화가 담고 있는 메시지가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와 맞닿아 있다면 사이즈는 그리 중요한 게 아니라고 임순례 감독은 강조했다.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물론 제 마음대로 결정되는 문제는 아니죠. 제가 하고 싶다고 할 수 있나요. 관객들이 ‘교섭’을 마음에 들어하시면 앞으로 제가 또 이런 작품을 연출할 기회를 얻을 수 있겠죠. 사실 저한테는 제작비가 기준은 아닌 것 같아요. 언제든지 ‘리틀 포레스트’ 같은 영화도 할 수 있고 ‘교섭’ 같은 영화도 할 수 있어요. ‘교섭’이 손익분기점을 넘기면 제게 앞으로 큰 영화 제안이 더 많이 들어올 것이고, 선택할 수 있는 범위도 넓어지겠죠. 그런 의미에서 ‘교섭’을 사랑해주시는 관객 여러분께 감사드려요.”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