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콜로라도강의 물 부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라스베이거스를 찾는 관광객은 연 4000만명이 넘는다.
미 연방정부는 지난해 콜로라도강 물 부족을 공식 선언했다.
결국 연방정부는 콜로라도 강물을 사용하는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등 7개 주정부에 물 사용량 절감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공급량을 강제로 줄이겠다고 통보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네바다주는 1922년 '콜로라도강 협약'으로 연간 강물 3억7000만t을 사용할 권리를 확보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라스베이거스를 찾는 관광객은 연 4000만명이 넘는다. 1950년 3만5000명이었던 인구는 지난해 283만명으로 늘었다. 주변은 온통 사막이다. 연 강수량이 100㎜ 안팎이다. 그래서 물은 애리조나주와의 경계에 있는 미드호에서 끌어온다. 미드호는 1936년 후버댐 건설로 생겼다. 미국 북부 록키산맥에서 멕시코까지 2300㎞를 흐르는 콜로라도강을 중간에서 막아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 호수를 만들고, 그 물로 사막의 불야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미드호에 문제가 생겼다. 미 연방정부는 지난해 콜로라도강 물 부족을 공식 선언했다. 2000년부터 20년 넘게 지속된 극심한 가뭄에 강물이 매년 15억t씩 줄었다는 것이다. 원인은 지구온난화다. 최근 100년 콜로라도강 상류지역 평균기온이 1.4도 상승하면서 강수량이 20% 넘게 감소했다. 기후변화 측정 위성 ‘GRACE’가 찍은 사진을 분석해 2004~2013년 미드호 수량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금처럼 물을 끌어 쓴다면 2050년에는 4000만명의 식수 공급을 위협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결국 연방정부는 콜로라도 강물을 사용하는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등 7개 주정부에 물 사용량 절감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공급량을 강제로 줄이겠다고 통보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런 최후통첩에도 여유를 부리는 곳이 라스베이거스다. 네바다주는 1922년 ‘콜로라도강 협약’으로 연간 강물 3억7000만t을 사용할 권리를 확보했다. 하지만 이 물의 90%를 쓰는 라스베이거스의 인구가 계속 늘어나자 2003년부터 특단의 조치를 실행했다. 골프장의 물 사용량을 엄격히 제한하고 집 앞마당에 잔디를 못 심게 했다. 동시에 한 번 사용한 모든 물을 정화해 미드호로 다시 보내는 리사이클링 시스템을 갖췄다. 그 결과 1990년대 미국 평균의 2배였던 라스베이거스의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은 30년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물 부족 국가에서 곧 물 기근 국가로 진입할 우리나라가 도박과 환락의 도시로부터 배울 점이 한둘이 아니다.
고승욱 논설위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北미사일 무슨 돈으로 쏘나했더니…“코인 10억 달러 훔쳐”
- ‘굿 안 하면 남편 영혼 구천 떠돈다’…32억 뜯은 동창생
- 서울 북한산 족두리봉서 40대 남성 숨진 채 발견
- 광주서 로또 1등 70억 잭팟 터졌나… 수동 3명 동일인?
- [기획] ‘청담동 술자리’ 가짜뉴스 논란 더탐사, 하루에 2100만원 벌었다
- 檢 ‘대장동 비리’ 물을 것 방대한데…李 “진술서로 갈음하겠다”
- “제주도 수학여행 따라온 학부모들, 미치겠어요”
- “딴놈 만나?!” 前아내 감금·폭행…연락 218회, 도청까지
- 유동규 “시의회 의장 앉혀 공사설립”…정진상 “촉있네”
- “文정부, 가스요금 인상 8차례 묵살…대선 패배후 올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