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광주·전남·제주 비지정문화재 조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화재청은 미래 역사 문화자원인 비지정문화재를 향토 유산으로 관리·활용할 기반을 마련 중이라고 27일 전했다.
문화재 중점보호주의(주요 문화재 위주의 보호)에서 탈피해 비지정문화재와 역사 문화자원까지 보호·관리·활용하려는 조치다.
올해와 내년에 각각 광주·전남·제주와 전북·대전·세종의 비지정문화재를 조사해 미래 역사 문화자원 약 6만 건을 확보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미래 역사 문화자원인 비지정문화재를 향토 유산으로 관리·활용할 기반을 마련 중이라고 27일 전했다. 문화재 중점보호주의(주요 문화재 위주의 보호)에서 탈피해 비지정문화재와 역사 문화자원까지 보호·관리·활용하려는 조치다. 올해와 내년에 각각 광주·전남·제주와 전북·대전·세종의 비지정문화재를 조사해 미래 역사 문화자원 약 6만 건을 확보한다. 문화재청은 지난 3년간 대구·경북·강원·서울·인천·경기·부산·울산·경남·충청에서 비지정문화재 4만4500건을 살핀 바 있다. 대부분 훼손·멸실 우려가 큰 건조물이나 역사 유적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조사를 마치는 대로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할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근거 법령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 "고데기 찾으러 간다" 고교 영양사가 SNS서 학생 위협
- 전광훈 교회, 재개발 후보지 '알박기' 정황…장위8구역 건물 매입 시도
- "입사 5개월차 신입의 월·수·금 연차…어쩌면 좋을까요"
- "서울 아파트 '큰손'은 30대?"…3개월 연속 매수 늘어
- “한국 의료 최고예요!”…중동 환자 간이식 받고 ‘엄지척’ 한 사연
- 둔촌주공 이어 마포더클래시도 완판…결국 '입지'가 관건
- '최대 5000원' 화장품 소문에 1020 몰렸다…뷰티상품 매출 70% 늘어
- 한동훈 "민주당, 제 '탄핵' 입버릇… 당당히 응할것"
- 재벌집 고명딸이 선택한 '튼튼한 럭셔리'
- "저속에서 반응이 빠르다" 제네시스 연식변경 G90 출시